정책이슈
멈춰 선 '한강 버스'…탑승객 86.3%는 “만족”

서울시가 운항을 중단하고 무승객 시범운항 중인 ‘한강버스’에 대해 탑승객 대부분이 만족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합리적인 요금과 쾌적한 선박 환경이 긍정적인 평가를 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2일, 지난 9월 24일부터 26일, 28일까지 한강버스 이용자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장 면접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선착장 7곳에서 무작위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45%다.
조사에 따르면 이용자 86.3%(690명)가 한강버스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불만족"은 13.7%(110명)에 그쳤다. 성별로는 여성(88.0%)이 남성(84.4%)보다 만족 비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20대(91.7%)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만족 이유(복수응답)로는 ▲요금의 합리성(53.2%)이 가장 많았고, 실내 공간 쾌적성(39.6%), 선착장 접근성(22.3%), 승하차 편리성(18.3%)이 뒤를 이었다. 한강버스 요금은 1회 3,000원이다.
반면, 불만족 이유로는 선착장 접근성 부족(44.5%)이 가장 많이 꼽혔고, 승하차 과정 불편(27.3%), 대기시설 미비(21.8%), 운항 안정성 문제(19.1%) 등이 뒤를 이었다.
한강버스를 지인이나 가족에게 추천하겠다는 응답은 88.8%에 달했다. 선착장 시설 만족도는 90.3%, 요금 체계 만족도는 94.5%로 각각 나타났다.
이용 목적(복수응답)으로는 '특별한 경험을 해보기 위해’(74.0%)가 가장 많았으며, ‘한강 경치 감상 및 여가’(53.0%) ‘요금이 합리적이라서’(14.9%) ‘교통정체 없이 이동하기 위해’(8.5%)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용자들은 개선이 필요한 점으로 접근성 개선(35.6%)**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대중교통 연계 강화(26.5%), 운항 정보 안내 시스템 고도화(15.6%), 운항 안정성 확보(7.9%) 등도 개선 과제로 꼽혔다.
한편, 서울시는 9월 18일 한강버스의 정식 운항을 시작했지만, 잇따른 기계 결함과 운항 중단 문제로 인해 9월 28일부터 무승객 시범운항 체제로 전환했다. 시는 현재 선박 안정성 점검과 성능 고도화를 추진 중이며, 이달 말 운항 재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항공대란 피했다…인천공항 보안검색노조, 연휴 추가근무 합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장원영, 초근접 셀카 '굴욕無'…"인간 인형"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9만전자’·‘40만닉스’…코스피 3500의 주역은 반도체株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국민연금 수익률 더 오른다"…새 역사 쓴 코스피 덕에 '활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바이오 1세대 우정바이오, HLB와 매각 물밑진행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