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서울 강남3구·성동·광진구, 집값 급등기보다 더 올랐다…정부 추가 규제 예고
- 과천·분당 등 경기 일부 지역도 급등

정부는 '집값 폭등'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자 이번 주 추가 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회 국정감사에서 규제지역 추가 지정 등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한 만큼 수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집값 급등기인 2020년(1~9월 기준) 8.77%, 2021년에는 12.72% 상승했다. 올해 1~9월 아파트값은 6.49%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집값 급등기 상승률을 밑돌고 있지만, 지역별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선 규제지역으로 묶여 있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값 상승률은 집값 급등기 당시 상승률을 훌쩍 넘어섰다.
강남 아파트값은 2020년 6.05%, 2021년 8.55% 상승했는데 올해는 같은 기간 14.59%나 올랐다.
서초 아파트 매매가격도 2020년 4.77%, 2021년 11.13%에서 올해는 12.41% 상승률을 기록했고, 송파 역시 2020년 8.29%, 2021년 11.53%에서 올해 13.7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규제지역에서는 광진과 성동, 경기 과천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광진구 아파트값은 올해 1~9월 9.70% 오르면서 2020년(9.58%), 2021년(8.80%) 상승률을 넘어섰고, 성동구 역시 올해 11.98% 오르면서 2020년(6.87%), 2021년(11.43%)의 변동률을 웃돌았다.
경기 과천 아파트값은 2020년 3.08% 상승에 그쳤지만 2021년에는 12.28% 올랐고, 올해는 과거보다 더 높은 13.89% 상승률을 보였다.
정부는 올해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을 내놨다. 초강력 대출규제로 주택시장은 잠시 관망세를 보였지만 최근 한강변 단지를 중심으로 다시 집값이 꿈틀대고 있다.
실제 올해 마포와 강동, 동작 등 한강변과 경기 성남 분당구 매매가격 상승률도 2020~2021년 급등기 상승률의 턱 밑까지 올라왔다.
강동 아파트 매매가격은 올해 9.24% 오르면서 2021년(11.46%) 상승률에 근접하고 있다. 마포 아파트값은 올해 8.71%, 동작 7.60%, 성남분당 8.50% 등으로 서울 전체 상승률(6.49%)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는 수요 억제책과 공급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이번 주 안에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추가 대책을 발표하기로 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확대와 대출 한도 축소, 보유세 인상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규제지역 확대에 대해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며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와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건진법사 첫 재판…김 여사측에 금품 전달 인정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번아웃 아니라더니…지예은, '활동 중단'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삼성의 통큰 결단…주가 오를수록 보상도 커진다(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MBK 국감 소환에 'PEF 긴장'…정책 리스크, 새 변수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업무 효율·수익 동시에 UP"…와이즈AI, 성장 날갯짓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