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기여 6054억원…내년 말 착공 목표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서울 성동구 삼표레미콘 부지에 79층 규모의 업무·주거·상업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난 26일 제19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지구단위계획 및 삼표레미콘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부지는 1977년부터 약 45년간 삼표레미콘 성수 공장으로 운영되다 2017년 서울시, 성동구, 삼표산업, 현대제철이 업무 협약을 맺고 기존 시설을 철거하기로 합의했다. 2022년에는 공장이 철거됐다.
이후 시는 삼표레미콘 부지의 도시계획을 변경하기 위해 SP성수PFV 등 민간 사업자와 사전협상 절차를 밟았다.
시는 사전협상 결과를 반영해 이 부지의 복합개발 세부 지침과 공공기여 등 주요 내용을 결정했다.
이곳에는 최고 79층 규모의 업무, 주거, 상업 기능이 복합된 시설이 들어선다.
업무 시설은 35% 이상 확보하도록 했다. 그 외 업무지원 기능을 위한 판매, 문화 등 상업 기능과 직주근접을 위한 주거시설도 40% 이하 범위에서 도입한다.
개발 이익에 따른 공공기여는 6054억원이다. 공공기여의 일환으로 개발 사업자가 서울숲 일대 상습적인 교통 정체를 완화하기 위한 기반 시설을 조성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 ‘유니콘 창업허브’ 시설을 세운다.
이 외에도 성동구 488억원, 서울시 1140억원의 공공시설 설치비용(현금)을 부담한다.
시는 아울러 삼표레미콘 부지와 서울숲을 연계한 입체 보행 공원을 조성해 서울숲과 연계된 녹지공간을 확충하도록 했다.
삼표레미콘 부지에 조성되는 공유 공간도 개방한다.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사업은 지난해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됐다. 서울숲과 연계된 입체 보행데크 건폐율은 최대 90%까지 완화할 수 있게 했고, 용적률도 최대 104%포인트까지 완화하는 등 관련 제도에 따른 인센티브도 받았다.
시는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 관련 재열람 공고를 내고 내년 1월 중 결정 고시할 예정이다. 건축심의와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말 착공이 목표다.
서울시 관계자는 “삼표레미콘 부지가 성수지역을 선도할 수 있는 미래 업무 복합단지로 조성되고, 공공기여를 통해 서울숲 일대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갓 잡은 갈치를 입속에... 현대판 ‘나는 자연인이다’ 준아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21/isp20251121000010.400.0.jpg)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알테오젠 “머크로부터 마일스톤 1500만달러 수령”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50억설' 사실로…두산, 이영하와 4년 계약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없는 번호입니다"…4년간 홈피 방카 정보 갱신하진 않은 국민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가능성 별로"…SNS발 회생루머에도 롯데건설 회사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발,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업가치 대변화...동국제약 ‘안정’·지투지 ‘한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