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통계청은 9월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가 113.1(2015년=100)로 전월보다 1.3% 늘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과 8월 각각 0.7%, 0.2% 감소하던 지수는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도 2.5% 증가하며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로 서비스업 생산이 늘고 소비가 증가하는 등 내수가 호조세를 보였다. 서비스업 가운데서도 숙박·음식점(10.9%)의 생산이 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운수·창고(4.5%) 등의 생산도, 도소매업(0.7%) 생산도 증가세를 보이며 회복 분위기를 나타냈다.
그러나 광공업 생산은 0.8% 줄며 지난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했다. 특히 광공업 생산 중 제조업 생산이 0.9% 감소하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감소폭 또한 7월 0.1%, 8월 0.4%와 비교해 커졌다. 이에 이번 발표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제조업 생산 부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강필수 기자 kang.pilsoo@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 '檢송치' 이경규, 예능 '마이 턴' 8월 첫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 '檢송치' 이경규, 예능 '마이 턴' 8월 첫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주4.5일제 시작될 시점은?” 질문에 대답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브릿지바이오 인수 파라택시스, "한국의 스트래티지 되겠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