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정 합의안 부결에 2차 합의안 마련할까

28일 조선업계 등에 따르면 현대중공업 노조가 지난해 임금 협상 잠정 합의안에 대해 지난 22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투표에 참여한 조합원 60% 이상이 반대하면서 부결됐다. 조합원 찬반투표에는 현대중공업 전체 조합원 6670명 가운데 5768명(86.48%)이 참여했으며, 투표에 참여한 조합원 중에 3851명(66.76%)이 반대표를 행사했다. 찬성한 조합원은 1901명(32.96%)인 것으로 집계됐다.
당초 현대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8월 30일 임금 협상에 대한 상견례를 가진 이후 올해 초까지 이견을 좁히지 못하다가 지난 15일 극적으로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기 하루 전에 잠정 합의안을 도출한 것이다. 이 합의안에는 기본급 7만3000원(호봉 승급분 2만3000원 포함) 인상, 성과금 148%, 격려금 250만원, 복지 포인트 3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이 담겼다.
파업 땐 생산 차질 불가피
반대로 현대중공업 노조 측은 이번 잠정 합의안이 60% 이상의 반대로 부결된 만큼, 조합원이 만족할 정도의 합의안을 마련해야 하는 입장이다. 특히 현재 현대중공업 노조 집행부가 지난해 말에 출범한 새 집행부라는 점을 감안하면, 잠정 합의안 부결에 대한 부담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 노조 측은 잠정 합의안 부결과 관련해 “24대 집행부는 조합원 총회에서 보여준 민심을 잘 새기겠다”며 “다시 교섭 전략을 세워 2차 잠정 합의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현대중공업 노조 측이 2차 잠정 합의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파업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생산 차질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감 부족에 시달리던 과거와 달리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대규모 수주를 이어가고 있는 현대중공업은 2~3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황이다.
충분한 일감을 확보 중인 현대중공업그룹 측은 인력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이달 21일에 대졸 신입사원 채용 공고를 냈는데, 이번에 채용하는 신입사원만 400여 명이다. 연초 선발을 완료한 수시 채용 인원 400여 명을 포함해 올해 상반기에만 800여 명의 대졸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것이다. 이는 조선업 불황이 시작된 2014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