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발생 이산화탄소 말레이시아 이송…해양저장소 주입‧저장
아시아 최초 CCS 허브 프로젝트…전체 밸류체인 개발 사례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국내 허브에 집결시킨 후, 말레이시아로 이송‧저장하는 사업이다. 참여사들은 말레이시아 현지 저장소 탐색부터 국내 탄소의 포집‧이송‧저장에 이르는 CCS 밸류체인의 전 주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먼저 타당성조사에 착수해 사업성을 검증하고 본격 사업 개발로 이어 나갈 방침이다. 참여사들은 향후 국내 다른 탄소 배출 기업들의 참여를 통한 사업 확장도 모색한다.
이번 사업은 아시아 최초의 CCS 허브 프로젝트로, 밸류체인 전체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기업별 탄소 감축을 위해서는 2030년 이전부터 실제적인 탄소 포집과 저장이 이뤄져야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허브를 통해 여러 기업이 배출한 탄소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어 처리와 이송 등에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국가 탄소 관리 차원에서도 효율적이다.
특히 각 사업 부문을 선도해온 기업들이 글로벌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국경을 초월해 협력했다는 점에서 주목도가 높다. 국내 기업들은 페트로나스와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탄소 저장 공간을 확보할 계획인데, 말레이시아는 세계적인 규모의 저장 용량과 한국과의 지리적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저장 공간 확보를 위한 최적의 국가다. 국내에 탄소 저장 공간이 부족해 해외 저장소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에 최적의 국가에서 저장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삼성중공업은 사업 개발 주관 및 허브를 맡는다. SK에너지, 롯데케미칼, GS에너지는 탄소 포집 및 허브를 맡고, 삼성중공업은 이송, SK어스온, 페트로나스는 저장소 탐색‧선정‧운영 등을 담당한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일일 3000명 할당량 때문?”…한국인 체포 논란 된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영애, 남편 암 투병+가세 몰락 이중고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현대차, ‘25% 관세’ 정면 승부…현실 직면한 공략 카드는(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 시장 지각변동…한미약품 신약 기대감 확산[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