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6

아모레·LG생건, 2Q 매출 하락...美·中 해외 시장 선방

유통

K-뷰티 양대 산맥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올 2분기 나란히 매출이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소폭 개선했다. 면세 채널의 불황이 지속되면서 국내 시장에서 매출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시장 매출에 따른 실적 희비가 엇갈렸는데, 아모레퍼시픽은 북미 지역에서 매출이 늘고,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여 선방했다는 평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올해 2분기 나란히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올해 2분기 매출은 1조57억원으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2억원으로 4.2% 증가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줄었다. 올 2분기 아모레퍼시픽의 매출은 9048억원으로 전년보다 4.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42억원으로 29.5% 줄었다. 국내 부문의 영업이익이 59%나 줄어 실적에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 매출액은 5119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대비 8% 감소했다. 면세 부문 매출이 줄면서 설화수·헤라 등 럭셔리 화장품의 매출이 줄었고, 일리윤·라보에이치 등 데일리 뷰티 부문은 마케팅 투자 확대와 포트폴리오 정비에 나서면서 매출이 급감했다. 중화권 시장의 부진 또한 악영향을 미쳤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 매출은 2.5% 증가한 3815억원이었다. 해외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2%로 전년 동기 대비 2.8% 늘었다. 그러나 과거 핵심 수출국이던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매출이 44% 감소했다. 중국 내 매출은 사업구조 개편으로 주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채널 재고 조정과 오프라인 매장 효율화 영향이라는 게 아모레퍼시픽그룹 측 설명이다. 다만 미국,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등에서 지역 매출이 각각 65%, 182%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다. 미주 지역은 인수·합병한 코스알엑스의 편입 효과가 반영돼 매출이 늘었으며, 라네즈·이니스프리 등도 매출액이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미주 매출액은 739억원에서 1218억원으로 늘었다. EMEA 지역에서는 영국의 ‘부츠(Boots)’에 공식 입점하며 채널 접점을 확대한 라네즈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아모레퍼시픽은 중화권 시장이 부진하지만 2분기 호실적을 나타낸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성장 잠재력이 큰 미국·일본·영국·인도 등을 글로벌 거점 시장으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이와 함께 중국 시장의 질적 성장을 이뤄내기 위해 중국 사업의 구조 재편과 경쟁력 확보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LG생활건강의 올해 2분기 매출은 1조75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585억원으로 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사업별로 화장품·생활용품·음료 모두 매출이 감소했으나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영업이익은 늘었다. LG생활건강의 올해 상반기 해외 매출은 1조339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해외 매출 1조301억원보다 0.4% 증가했다. 특히 LG생활건강은 중국 시장에서 1912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대비 5.5%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LG생활건강 주력 화장품 브랜드인 ‘더 히스토리 오브 후(더후)’의 매출 확대가 이어지면서 중국 현지에서 성장세를 만들어냈다. LG생활건강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북미·일본 등에 영업을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북미 시장 매출액은 1577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7% 감소했고, 일본 시장에서도 5% 줄은 987억원을 기록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은 비우호적인 중국 시장 환경에도 더후의 리브랜딩 효과가 나타나며 견조한 실적을 냈다”며 “국내 성장 채널 육성, 일본·미국 등 비중국 성장 동력을 키워가는 만큼 성장 모멘텀은 부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4.08.08 16:49

3분 소요
매각 전 투자금 회수? …에이블씨엔씨, 새 주인 찾을까

증권 일반

화장품 브랜드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078520)가 6년 반 만에 중간배당을 실시하면서 최대 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가 매각을 앞두고 투자금 회수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이블씨엔씨의 매각이 예정보다 지연되고 있고 지난해 몇 년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한 가운데 대규모 배당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블씨엔씨는 1주당 1270원을 현금배당하는 중간배당을 결정하고 지난 4일 배당을 실시한다. 배당 총액은 330억원에 달하며 시가배당률은 13.5%, 지급일은 10월 18일이다. 이번 배당은 지난 2017년 2월 이후 처음 실시되는 것으로 IMM PE가 같은 해 4월 에이블씨엔씨를 인수한 뒤 결정한 첫 배당이다. 회사는 ‘주주화원 정책 차원’에서 배당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보에 ‘무리한 배당’이라는 시각이 뒤따르는 이유는 에이블씨엔씨가 이익을 내기 시작한 지 얼마되지 않았고 재무 상황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에이블씨엔씨는 2018년도부터 중국의 사드 보복 등 외교적 갈등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등으로 매출이 크게 떨어져 적자로 전환했고 이후에도 2020년, 2021년도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그러다 지난해 3년만에 100억 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턴 어라운드에 성공했다. 에이블씨엔씨의 올해 상반기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387억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 상반기 기준 영업이익은 79억, 순이익은 46억원에 불과하다. 330억원 규모의 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순이익을 크게 초과하는 수준이다. 이번 배당으로 IMM PE는 약 200억원가량을 배당금으로 가져가게 된다. 시장에서는 배당금이 IMM PE의 금융비용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해석한다. IMM PE는 에이블씨엔씨 인수를 위해 세운 특수목적법인(SPC) 리프앤바이를 통해 지난 2017년 에이블씨엔씨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당시 약 4130억원을 투입했고, 총 1630억원을 인수금융으로 조달했다. 지난해 9월 에이블씨엔씨 인수금융 만기일이 도래했지만 연장에 실패하며 기한이익상실사유(EOD)가 발생하게 된 상태다. 에이블씨엔씨의 매각 향방을 두고도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매각을 앞두고 몸값을 조정하기 위해 실시한 중간 배당이라고 보기도 한다. 매각이 지연될수록 이자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배당을 통해 몸값을 낮추는 과정이라는 해석이다. IMM PE는 지난해 크레디트스위스(CS)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고 매각을 추진했지만 이렇다 할 결과를 내지 못했다. 이에 지난 6월 에이블씨엔씨 매각을 ‘상시 매각’ 체제로 전환하고 구체적인 본입찰 일정을 정하지 않고 열어둔 채 원매자들로부터 제안을 받기로 했다. 한편 중국 관광객 유입이 재개되면서 에이블씨엔씨의 실적 개선기대감이 커진 상태이기 때문에 지금이 매각 적기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방한 관광객 급증으로 관광 상권의 매장 효율, 면세 매출이 견조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하반기는 중국의 중추절·국경절 시기 중국인 인바운드 유입 효과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10.05 08:30

2분 소요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부활 날갯짓…K-뷰티 영광 되찾나

유통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보복과 코로나19 사태로 내리막길을 걸었던 1세대 화장품 로드숍 브랜드가 부활을 알렸다. 엔데믹으로 전환하면서 방한 관광객이 급증, 매출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기세를 몰아 오프라인 매장 확대를 기반으로 온라인 채널과 해외 시장 강화 등 체질 개선에 나서며 불황 터널을 탈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화장품 브랜드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엔씨의 1분기 매출액 631억원으로 전년 대비 11.3% 늘었다. 영업이익은 4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보다 614.4% 증가했다.에이블씨엔씨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해외 매출 비중도 2020년 27.7%에서 올해 58.4%로 확대됐다. 주력 브랜드 미샤의 모델로는 할리우드 배우 엘리자베스 올슨을 기용하고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에뛰드의 영업이익은 53억으로 전년 대비 1746% 뛰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83억원으로 8.8% 증가했다. 아모레퍼시픽 계열사 브랜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나타냈다. 에뛰드는 아이 메이크업 신규 기획 세트와 유튜버 조효진과 공동 개발한 신제품이 판매 호조를 나타내며 매출이 성장했다. 또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는 대신 유통채널을 다각화했고, 해외 시장에서 성장세를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올해 1월 일본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 1위 등극하기도 했다. 토니모리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312억원으로 전년대비 7.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억원으로 13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별도 기준 매출액도 245억원으로 18.5%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307.1% 늘었다. 토니모리는 기존 로드숍 중심의 사업 구조를 디지털과 글로벌 중심으로 재편하고 유통채널을 다각화한 점이 수익성 개선에 보탬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토니모리에 따르면 디지털과 글로벌 부문 매출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성장했다.2분기 또한 호실적을 거둬들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나증권은 토니모리의 2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5% 증가한 361억원, 영업이익은 27억원으로 흑자전환할 것으로 추정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관광 상권 수요 증가로 로드샵과 면세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난 2월 일본 이토추상사와 일본 내 드럭스토어, 온라인 입점을 위한 중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해 오는 7~8월 일본 오프라인 입점이 예상되는 점도 기대 요인이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올해 토니모리는 방한 외국인 수요 증가와 해외 매출 확대로 분기마다 단계별 이익 상승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명동 상권이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의 화장품 쇼핑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중구 내 외국인 지출액은 117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코로나 이전인 지난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약 88.7% 수준까지 회복했다. 화장품 로드숍들도 명동 상권으로 복귀하고 있다. 관광객 수요가 되살아나면서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에뛰드는 2월 명동에 매장 2곳을 열었고, 이니스프리도 지난달 26일 명동점에 신규 매장을 열었다. 토니모리는 지난해 명동에 매장 3개점을 오픈한 데 이어 지난달 명동1번가점을 추가로 오픈했다.뷰티업계 관계자는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에 따라 뷰티용품 수요가 늘고 있고,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인해 시장이 회복돼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는 상태”라며 “1세대 로드숍 브랜드들은 국내에서는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열어 오프라인 채널을 활성화,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사업과 유통채널을 확대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2023.07.03 08:00

3분 소요
아모레퍼시픽, 호실적에 7%대 상승…아모레G도 동반 강세 [증시이슈]

증권 일반

#아모레퍼시픽이 깜짝 호실적에 7%대 상승 중이다. #아모레G를 비롯해 우선주도 모두 동반 강세다.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오전 9시 40분 현재 아모레퍼시픽은 전일 대비 7.43%(1만500원) 오른 15만1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아모레G(6.14%), 아모레퍼시픽우(4.86%), 아모레G3우(전환)(3.40%), 아모레G우(2.57%) 아모레퍼시픽그룹주가 모두 오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작년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시현했다. 4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79억원, 영업이익 57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2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를 32% 상회했다. 중국법인의 조직 효율화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된 여파라는 분석이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은 2021년 중국의 오프라인 채널 정예화, 전사 인적 조직 효율화를 단행했으며, 작년에는 제품 포트폴리오 재정비, 효자상품 육성을 위한 과정을 거쳤다. 작년 4분기 수익성 개선은 2021년 효율화 원년의 결과”라며 “올해는 한국·중국·미국·일본 전지역·핵심 채널에서의 도약이 기대된다”고 말했다.올해 연간으론 매출 4조8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을 예상했다. 작년 대비 매출은 16%, 영업이익은 9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2분기부터 회복될 관광 수요를 반영해 올해 이익 추정치를 42% 상향 조정했다”며 “효율화에 따른 이익 체력 개선, 브랜드 믹스 상승도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메리츠증권도 이날 아모레퍼시픽의 목표주가를 기존 17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투자 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하누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올해 아모레퍼시픽은 구조조정이 완료 단계에 진입했고, 마진 확장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진짜 돈을 벌 예정”이라고 전망했다.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예상대로 국내외 리오프닝 효과로 이전 분기 대비 매출 감소폭을 줄이되, 중국 이익은 2개 분기만에 흑자로 돌아섰다”며 “2021년 4분기에 발생했던 대규모 일회성 비용 400억원에 대한 기저효과가 부각되기도 했지만, 국내외로 비효율 비용 요소 제거에 따른 손익분기점 레벨이 낮아진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2023.02.02 09:48

2분 소요
하나證, 아모레퍼시픽 투자의견 ‘중립’…“4분기 실적도 기대 이하”

증권 일반

하나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투자의견 ‘중립’과 목표주가 14만원을 유지했다. 중국시장에서 수요가 회복되고 있지만 실적은 여전히 기대치를 밑돌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아모레퍼시픽의 올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31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컨센서스를 35% 밑돌 것"이라며 “광군제 매출 부진에 따른 손익 악화와 중국 마몽드 매장 철수 관련 재고 환입, 그리고 북미 인수 관련 일회성 비용 인식 및 마케팅 비용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동남아 리오프닝 효과와 북미에서의 64% 고성장에도 면세와 중국 매출이 각각 51%, 23%씩 줄어들면서 전사 매출 감소는 불가피했다”며 “이익은 전년도 기저효과 및 비용 축소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대중국 수요가 회복되고 비중국 규모가 확대되면서 우려가 기대로 전환되는 중”이라며 “방한 외국인 증가에 따른 내수 체력 회복에 따른 기대도 내년 추정치에 반영됐다”고 덧붙였다. 비용 구조가 슬림화된 만큼 가시성 있는 매출 회복이 관건이라는 게 박 연구원의 분석이다. 송재민 기자 song@edaily.co.kr

2022.12.22 09:13

1분 소요
올해 2번째 과열종목 지정…아모레퍼시픽 '타깃' 벗어날까 [주간 공매도]

증권 일반

국내 화장품 대표주 아모레퍼시픽은 연간 공매도 3위에 올랐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실적 개선, 리오프닝 기대감에 주가가 19만원까지 치솟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실적 부진이 지속되면서 1년 내내 공매도 타깃이 됐다. 올해 들어 공매도 과열 종목에 2번 지정됐지만 아직 전고점을 뚫진 못한 상태다. 증권가에선 아모레퍼시픽의 실적 개선 시기로 내년 2분기를 지목하고 있다. ‘위드 코로나’ 전환을 선포한 중국 내 수요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국내 여행객 회복에 따라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주(12월 12~15일) 국내 증시에서 아모레퍼시픽의 공매도 비중은 25.69%로 CJ에 이어 주간 공매도 2위를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일주일간 공매도 물량은 24만7103주로 전체 거래량(96만1623주)의 4분의 1이 공매도였다.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연간(1월 3일~12월 15일) 공매도 순위에서도 비중 17.94%를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올해 들어 21.13% 빠졌다. 작년 연간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지난 2월 21일 장중 19만300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썼으나 이후 주가 하락세가 본격화됐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고수, 오미크론 재확산 등으로 실적이 내리막을 걸었고 공매도 세력마저 몰리면서 주가는 8만 원대까지 밀리고 말았다. 연간 공매도 3위에 올랐지만, 아모레퍼시픽이 공매도 과열 종목에 지정된 건 2번(10월 26일·12월 12일)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한국거래소가 강화된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기준을 지난 10월 24일부터 시행하면서 가능했다. 아모레퍼시픽 공매도 비중이 47.18%로 1년 중 가장 높았던 10월 13일은 물론 7월 4일(42.48%), 1월 4일(41.59%) 등에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지 못했다. 공매도 과열 종목에 지정되면 다음 날 하루 동안 정규 시장과 장외시장에서 차입 공매도가 금지된다. 두 번의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은 소기의 효과를 냈다. 10월 26일 첫 번째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이후 12월 9일까지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8만9700원에서 13만9500원까지 55.52% 급등했다. 아모레퍼시픽 주주들은 “공매도 세력을 이겼다”고 환호했다. 두 번째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일 이후 주가 흐름을 보면 13일(1.89%), 14일(-0.74%), 15일(-2.25%), 16일(1.16%) 등 롤러코스터 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급락세는 막은 것으로 보인다. 아모레퍼시픽의 실적 개선은 내년 2분기에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증권은 내년 아모레퍼시픽이 ▶대중국 수요 회복에 따른 이익 체력 회복 ▶비중국(미국·일본)의 규모 확대 ▶방한 외국인 회복에 따른 내수 수익성 개선 등 3가지 모멘텀에 따라 매출 회복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중국의 위드 코로나 선언 이후 11월 한 달간 아모레퍼시픽 주가는 9만6700원에서 13만500원으로 34.95% 뛰기도 했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11월 한 달간 시장은 이미 중국이 위드 코로나 환경으로 전환된 것처럼 강렬하게 반응했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이 대장주였다”며 “산업 지표가 회복되고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이 개선되는 시점은 내년 2분기로 시차가 존재한다. 단기적으로 실적 시즌이 도래할 경우 주가 변동성이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박 연구원은 “큰 그림에서 구조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 의존도 급감, 북미·일본에서의 기여도 확대로 기업의 이익 체력은 이전 대비 안정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박현진 신한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당장은 내년 실적에 대한 기대치를 크게 높이기에 단서가 약하지만, 그룹의 변화 흐름은 긍정적”이라며 “단기간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주가가 급등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크다고 느낄 수 있으나, 회복 사이클의 초입으로 주가 추세가 바뀔 가능성은 낮다”며 아모레퍼시픽을 화장품 업종 내 최선호주로 제시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2022.12.17 08:00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