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전국 집값 1.48% 올라

2016년 1.84% 하락했던 대구는 수성구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1.29%로 상승 전환했다. 경기(1.67%)와 인천(1.42%), 평창동계올림픽 특수를 누린 강원(2.40%) 등도 전년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이와 달리 경남(-1.62%)·울산(-1.08%)·충남(-0.53%)·충북(-0.36%)·경북(-0.90%) 등은 조선업 구조조정과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집값이 하락하며 양극화된 모습을 보였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2.67%, 아파트 1.08%, 연립주택이 1.07% 오르며 모든 유형에서 전년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매매와 달리 전셋값은 안정세를 보이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짝수해보다 홀수해에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던 ‘홀수해 법칙’이 깨졌다. 감정원 조사 기준 지난해 전국의 전셋값 상승률은 0.63%로 전년도(1.32%)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지난해 집값 강세로 전세 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에 나선데다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갭투자’가 증가하면서 전세 공급이 늘어난 영향이다. 서울의 전셋값이 2.03%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반면 입주물량이 몰린 세종은 전셋값이 7.05% 떨어져 하락률 1위를 기록하며 매매 시장과 대조를 이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덕수·조희대 회동 의혹에…서영교 “양심 쿡 찔릴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영애, 남편 암 투병+가세 몰락 이중고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싹 다 털렸다" 롯데카드 해킹 2차 피해 우려…예방법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 시장 지각변동…한미약품 신약 기대감 확산[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