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담대 고정금리 최고 상단 연 6% 넘어
한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도 예고
오는 7월 대출자 593만명 DSR 사정권 예상

주담대 고정금리 연 3%대 연내 사라질 수도
이는 주담대 변동금리가 따르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같은 기간 1.55%(신규코픽스 기준)에서 1.72%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5일 발표된 3월 기준 신규 코픽스는 한 달 새 1.70%에서 1.72%로 높아졌다.
주담대 혼합형(고정형) 금리는 연 3.600∼4.978%에서 3.900∼6.380%로 더 크게 뛰었다. 주담대 고정금리 지표로 주로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2.259%에서 3.428%로 치솟은 영향으로, 주담대 고정금리 상품에선 조만간 연 3%대 금리가 사라질 가능성도 커졌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4일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1.25%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1.50%로 결정했다. 이번 금통위 의장 직무대행을 맡은 주상영 위원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겠다 하는 판단이 들었다”며 “총재 공석임에도 불구하고 저희가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지난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서면답변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추가적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하며 “경기가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차주별 DSR 적용 대상자, 7월엔 전체 차주의 30%

지난해 12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DSR 규제에 포함되는 대출자는 267만명, 7월부터는 이보다 2배 불어난 593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가계대출 이용자 1990만명 중 30%가 DSR 대출 규제에 직접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영향으로 최근 은행권 대출은 감소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3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703조1937억원으로 2월 말보다 2조7436억원 줄었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문수 “65세 이상, 버스도 무임승차…출퇴근 시간은 제외”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종민·에일리·심현섭, 오늘(20일) 결혼… 연예인 하객들 바쁘겠네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