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올해 하락률 -11%, 나스닥 -28%·S&P500 -18%
외국인도 8주만에 ‘셀 코리아’, 韓 증시 가격 매력 부각
美 증시 바닥론도 갑론을박…삼성證 “한국 주식 사라”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월 3일부터 이달 21일까지 코스피 지수는 11.69%, 코스닥 지수는 15.22% 떨어졌다. 이 기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구글 등이 포함된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61%,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8.28% 떨어졌다.
이로 인해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한 서학개미들도 큰 손실을 봤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 19일까지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미국주식 상위 10개 종목의 평균 손실률은 -41.93%다. 서학개미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와 나스닥, 반도체지수 추종 ETF(상장지수펀드) 등 대부분 기술주 위주로 순매수한 결과 더 큰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모건스탠리 “저점 아직 안 왔다”
뉴욕증시는 올해 2분기부터 하락폭을 키우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나스닥 하락폭은 9%였지만, 4월부터 지난 21일까지 낙폭은 20%에 달했다.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형기업을 담은 S&P500도 2분기에만 14% 급락했다. 미국 기업의 실적 둔화, 거시 경제 우려 등이 맞물리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된 결과로 풀이된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의 뉴욕증시 바닥지수에 전망도 엇갈린다. 모건스탠리는 뉴욕증시 저점에 대해 “아직 멀었다”며 S&P500 지수가 3400선까지 밀릴 것으로 내다봤다. 골드만삭스 역시 올해 S&P500 지수 전망을 4300으로 하향하고, 만약 경기 침체가 온다면 3600선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23일(현지시각) S&P500 지수는 3901.36으로 마감했다.
반면 JP모건은 현재 시장의 경기 침체 우려가 과하다고 내다봤다. 마르코 콜라노비치 JP모건체이스 수석시장전략가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걷힌다면 증시를 압박하고 있던 투자심리가 회복돼 주식 시장이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6~12개월 동안 경기 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위험 자산에 투자하기 좋은 시기라고 본다”고 말했다.
달러 약세 전환으로 韓 증시 매력 부각
바닥권을 맴도는 뉴욕증시와 비교하면 한국 증시의 투자 매력이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8주 만에 순매수로 전환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국내 주식 4420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이 기간 외국인은 코스닥 2차전지 기업 엘앤에프를 1868억원 어치 순매수했고, LG에너지솔루션(1402억원), 후성(1332억원) 등 2차전지 관련주를 집중 매수했다.
삼성증권은 국내 주식 중 2차전지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으로, 삼성SDI·LG화학·포스코케미칼, 모빌리티 기업으로 기아·현대글로비스·현대오토에버 등을 추천주로 제시했다. 또 삼성물산·삼성에스디에스·GS·롯데쇼핑 등을 주가 하락으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진 기업으로 꼽았다.
허지은 기자 hur.jie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시진핑과 만남 의식?…"트럼프, 대만 무기 지원 승인 거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영애, 남편 암 투병+가세 몰락 이중고 '충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현대차, ‘25% 관세’ 정면 승부…현실 직면한 공략 카드는(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스타트업도 한류? 日고베시, 한국 스타트업 ‘정조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만약 시장 지각변동…한미약품 신약 기대감 확산[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