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담대 연체 발생 시 캠코에 채권매각

이번 계약은 지난해 11월 15일에 체결한 ‘하우스푸어 등 취약·연체 차주의 성공적 재기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 수립을 위해 진행된 것이다.
카카오뱅크는 주담대에 연체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채권을 캠코에 정기적으로 인계해 채무자에게 주택매각 후 임차거주 및 채무조정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로써 카카오뱅크 주담대 채무자는 인계 이후 캠코에 주택을 매각해 매각대금으로 채무를 청산할 수 있으며, 임차거주 후 주택 재매입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여기에 낮은 금리의 채무조정이율, 최장 33년의 장기분할상환 등의 채무조정 프로그램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카카오뱅크와 캠코는 연체채권 양·수도와 관련된 모든 업무 과정을 서류 없는 방식으로 전산화·자동화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 여기에 상호 인프라를 바탕으로 신속한 채무자 지원 등 공적 기능 강화한 협력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카카오뱅크 주담대 취약・연체 차주의 실질적인 주거안정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포용적 금융지원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尹 한 푼도 없어”…계좌 공개 하루 만에 400만원 ‘훌쩍’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54세 늦둥이' 박수홍 "오래오래 살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차관급 12명 인사…첫 여성 병무청장 포함 ‘실무형 전면 배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이음·헬리오스…대형 PEF 자리 메꾸는 중소형 PEF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무상증자’ 현대바이오 상한가, FDA 허가 신청에 HLB생명과학도 강세[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