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의 아슬아슬한 외줄타기 성공할까? [조원경의 글로벌 인사이드]
기대보다 낮은 성장률, 높은 인플레이션 우려
70년대 ‘대(大)인플레이션’ 잡으려 잔인한 통화 긴축
연준 처방 먹혀도 평균보다 높은 인플레 지속 가능성

원론적으로 금리 인상으로 대출 비용이 증가하면 고객은 더 높은 이자비용을 부담하게 되고, 소비자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들거나 기업의 영업이익이 감소한다. 하지만 금리 인상을 뛰어넘는 경제성장과 소득향상이 있다면 다른 이야기이리라. 주식시장의 성과는 일반적으로 기업 수익의 함수이다. 기업 이익과 기대 성장이 좋을수록 증시에 유리하다. 모든 경제는 부침의 순환을 거친다. 주식시장도 상승 사이클을 탈 수 있다. 역사는 분명히 이를 말해준다. 도이치뱅크의 연구에 따르면 1955년 이후 금리 인상 시기에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첫해에 평균 7.7%의 수익을 달성했다. 경제가 성장하는 국면에서 금리 인상은 당연하기에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급격한 인플레이션 현상과 마주하고 이를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때 발생한다. 1970년대의 ‘대(大)인플레이션’은 이러한 점에서 지금의 인플레이션과 많은 비교를 하게 한다.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현실이 물가는 상승하고 경기는 급하강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해당할지는 아직은 분명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기대했던 것보다 성장은 낮고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은 인플레이션의 장기화가 목전에 있다는 점이다.
70년대 인플레이션 발생 전 저물가 지속
결정적인 차이는 연준의 역할이다. 1960∼1970년대에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정치권의 거센 반발에 좌초되기도 했다. 1970년대에 연준은 아서 번스가 이끌었다. 그는 대기업과 노동조합이 무리하게 제품 가격과 임금을 올려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보았다. 그는 연준이 이에 대한 상황 대처 능력이 없다고 봐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리처드 닉슨 행정부에 임금과 가격을 통제할 것을 요청했다. 이는 엄청난 실패로 끝났다. 결국 1980년 폴 볼커 연준 의장이 20%까지 금리를 인상하며 인플레이션을 종식시켰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미국 주가지수는 암울했던 시기를 반영한다. 오늘날 통화당국자들은 공급 측 문제가 완화하길 기다리면서 수요 증가세를 둔화시켜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상황에서 우리는 몇 가지 질문을 할 수 있다. 연준이 어느 정도까지 긴축 운용을 할 것인가, 이에 따라 경기 둔화를 넘어 경기 침체는 발생하지 않을까, 연준이 해결하지 못하는 공급 측 문제는 어떻게 빨리 해소될 수 있을까, 기대 인플레이션을 잠재우기 위한 연준의 신뢰성 확보는 성공할까.
1970년대의 ‘대(大)인플레이션’ 종식 과정에서는 미국의 잔인한 통화 긴축, 급격한 인플레이션 조정, 중남미를 중심으로 하는 개발도상국의 채무 위기가 있었다. 1970년대에 인플레이션 위험이 심화되었던 이유 중 하나는 잠재성장률의 둔화를 제때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세계은행은 2020년대 전반에 걸쳐, 잠재적인 세계 성장은 2010년대 평균보다 0.6%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는 과연 줄어든 잠재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까? 세계적으로 총부채가 어느 시기보다도 높은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오랜 기간 지속된다면 혼란스러운 채무위기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진다 하겠다.
팬데믹 이후의 경기 회복세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대비 부채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2022년 1분기에는 15%포인트 줄었다. 이는 미국과 EU 국가에서 주로 낮아진 것이다. 베트남·태국한국은 총 부채비율이 각각 9.9%포인트, 5.6%포인트, 4.5%포인트 늘었다. 그동안 양적완화(QE)란 이름으로 미국·일본·유로권·영국이 푼 돈은 2년여 만에 10조 달러가량 증가했다. 이제 인플레이션을 대하는 각국의 자세는 긴축 모드다. 연준이 사상 처음 양적긴축(QT)를 실시한 2017년에 비해 속도는 빨라지고 규모는 커졌다. 미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도 앞으로 2년간 2조 달러씩 자산을 줄여나간다. 영란은행도 기준금리를 1.25%로 인상해 13년 만의 최고 수준이 되었다. ECB는 7월에 양적완화를 중단하고 11년 만에 금리를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파월은 경기 침체 가능성 작다고 보는 걸까?
※필자는 국제경제 전문가로 현재 울산 경제부시장이다. 대한민국 OECD정책센터 조세본부장, 대외경제협력관, 국제금융심의관 등을 지냈다. 저서로 [앞으로 10년 빅테크 수업] [넥스트 그린 레볼루션] [한 권으로 읽는 디지털 혁명 4.0] [식탁 위의 경제학자들] [명작의 경제] [법정에 선 경제학자들] [나를 사랑하는 시간들] 등이 있다.
조원경 울산 경제부시장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중국서 다시 불붙은 '트럼프 변기 솔' 인기…반미 감정에 풍자 상품 재조명
21번지의 특별함 누리는 하이엔드 프라이빗 멤버스 클럽 ‘디아드’ 눈길
3그린알로에 알로에스테, ‘대한민국 대표브랜드 대상’ 알로에화장품 부문 9회 수상
4트럼프 행정부, 또 한국 건너뛴다…아시아 순방서 '패싱' 지속
5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통합 데이터 플랫폼 확대
6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3대 지수 일제히 약보합 마감
7뉴로바이오젠, 미국 제약사와 6.5조원 규모 비만·치매 치료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맺어
8 트럼프 칩수출 제한, 엔비디아 시간외거래에서 6% 급락
9갈 곳 잃은 건보료 327억원, 3년 지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