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승건 토스 대표 “삼성전자만큼 해외서 돈 버는 핀테크 나왔으면”
- [서울 핀테크 위크 2023] ②
“핀테크 해외 진출 장려할 만…다만 규제 확인하고 현금 흐름 갖춰야”
“미래엔 모든 금융 활동 온라인서 가능…소비자가 주인 될 것”

이 대표는 4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에서 열린 ‘서울 핀테크 위크 2023’ 콘퍼런스 기조연설 후 나온 ‘국내 우수 핀테크 기업들이 사회적 효용을 해외에서 창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우선 이 대표는 해당 질문에 “한국 산업과 사회를 위해서는 당연히 해외에서 돈을 벌어 와야 한다”며 “해외에서 가치를 창출하고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핀테크의 해외 진출에서 유념할 점들이 있다고 짚었다. 이 대표는 “국경을 기준으로 법은 바뀌고, 법이 바뀌면 핀테크 산업의 기회가 달라진다”며 “한국 또는 특정 국가에서 기회라고 생각했던 사업 기회가 실제로 다른 나라에서는 작동되지 않을 수 있어 회사의 생존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금융산업도 매우 규모가 크다”며 “국내에서 충분한 현금 흐름을 만들어서 해외에 진출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럼에도 그는 “이런 유의점을 고려하더라도 해외에서 좋은 기회가 있다면 (진출을) 안 할 이유가 없다”면서 “토스도 분발하겠다”고 덧붙였다.
국내 핀테크의 앞으로 10년에 대해선 디지털 혁신이 지속 확대됨으로써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던 일들이 온라인에서 더 많이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 대표는 “미래엔 금융의 모든 활동들이 사실상 온라인에서 가능해질 것”이라며 “결국 모든 소비자들의 금융이 훨씬 접근성이 매우 높아지고 더 빠르게 처리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넥스트(Next) 토스’를 꿈꾸는 창업가들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는 “한국의 큰 시장 규모에 비하면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수가 사실 굉장히 부족하다”며 “(침체된 스타트업 시장 상황에서) 창업가들에게 함부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크게 생각하고 큰 규모의 혁신을 도전하는 게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비트코인, 국가 전략자산으로…韓 기관도 대응해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수지, 외할머니와 감동 투샷 “나의 오판금”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P500, 6350선 붕괴되면 나락간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우주株 잔혹사 끝낼까" 나라스페이스, 상장 성패에 투자자 촉각[마켓인]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②'PPI 빅데이터' 프로티나, '바이오베터 무한 도출 가능'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