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일타강사 모의고사 영어지문 수능 이어 EBS 감수본에도 실려 ‘파장’
- 평가원, 이의신청 무시…교육부, 뒤늦게 수사 의뢰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대형 입시업체의 사설 모의고사와 흡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던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지문이 비슷한 시기 제작된 EBS 수능 교재 감수본에도 실렸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EBS 교재 최종본에서는 제외됐으나, 한 영어 지문이 수능과 사설 모의고사, EBS 교재에 모두 겹치는 것은 우연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교육계에 따르면 감사원은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3번 지문이 그해 나온 1타 강사의 모의고사 문제집과 이듬해 출간 예정이던 EBS 수능 교재 감수본에 들어간 경위 등을 감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지문은 2022년 11월 시행된 2023학년도 수능 영어 23번 문항에 달린 것으로, 국내에서도 베스트셀러에 오른 ‘넛지’의 저자 캐스 선스타인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출간한 ‘Too Much Information’에서 발췌됐다.
23번은 지문을 읽고 주제를 찾는 3점짜리 문항이었는데, 수능 직후 입시 커뮤니티 등에선 이 지문이 대형 입시학원의 유명 강사가 제공한 사설 모의고사 지문과 한 문장을 제외하고 동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수능 직후부터 닷새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접수한 이의 신청 총 660여건 가운데 100여건이 23번 문항에 집중됐다. 이의신청자들은 유명 강사가 제공한 사설 모의고사를 미리 풀어보고 해설 강의까지 들은 학생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똑같은 지문이 EBS 수능 교재에도 실릴 뻔했다는 것이다. EBS 수능 교재의 감수는 수능 출제를 주관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담당하는데, 평가원이 수능에 나왔던 지문임을 확인하고 최종본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평가원은 수능 직후 영어 23번 문항이 사설 모의고사와 겹친 이유로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설명해왔다. 23번에 대한 이의 제기에 관해 ‘문제·정답 오류’에 대한 이의 신청이 아니라며, 심사 대상으로도 올리지 않았다.
그러나 한 지문이 비슷한 시기 수능과 1타 강사 문제집에 이어 EBS 교재까지 동시에 실리는 것은 우연으로 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지문이 발췌된 책은 당시 국내에 출간되지 않았다.
해당 지문으로 모의고사를 만든 일타 강사는 현직 고교 교사들에게 금전을 지급하고 사들인 문항으로 교재를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는 인물이다. 일타 강사의 돈을 받은 현직 교사 4명은 수능 모의평가 출제나 EBS 교재 집필 경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능 출제 경향과 EBS 교재 제작을 잘 아는 교사들이 사교육업체 유명 강사와 거래를 한 것이다.
교육부는 ‘사교육 카르텔 신고 센터’에 해당 강사와 같은 제보가 들어와 해당 강사와 현직 교사 4명을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수사 의뢰했다.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해당 강사와 교사들에겐 업무방해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정은 만난 시진핑 “북과 조율 강화…한반도 평화·안정에 최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민도희, 공항서 민폐?…"깊이 반성하고 있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김정은 만난 시진핑 “북과 조율 강화…한반도 평화·안정에 최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보다 더 큰 문제…LS 에식스솔루션즈, 다층 지배구조에 상장 난항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아이오니스 ‘올레자르센’ 적응증 확대 ‘청신호’…에스티팜도 ‘방긋’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