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 이상 ’부자‘ 46만명…300억이상도 1만명 넘어
KB금융 부자보고서
투자처로 단기 주식·중장기 거주용주택 선호

22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4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지난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부자는 46만1000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의 0.9%로, 2022년보다 1%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26조원으로 2.9% 증가했다. 코스피 지수가 지난해 18.7% 반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부자를 자산 규모별로 나눠보면, 91.5%(42만2000명)가 ‘10억원∼100억원 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로 분류됐다. 보유 금융자산이 ‘100억원∼300억원 미만’인 ‘고자산가’는 6.3%(2만9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2.2%(1만1000명)를 차지했다.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율은 각각 55.4%와 38.9%로 조사됐다. 부동산 비중은 금리 상승으로 가격이 하락하며 감소했다. 이는 거주용 주택, 현금, 빌딩 및 상가 순으로 구체화된다.
자산 구성을 세부적으로 보면 거주용 주택(32.0%), 현금 등 유동성 금융자산(11.6%), 거주용 외 주택(10.9%), 빌딩·상가(10.3%), 예·적금(8.7%), 주식(7.4%) 순이었다.
2023년 같은 조사 결과와 비교해 주가 상승과 부동산 저점 매수 등으로 주식과 거주용 외 주택의 비중이 커졌다.
부자들의 금융투자 성향을 보면, 높은 수익률만큼 큰 손실도 감내할 수 있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의 합은 올해 20.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늘었다. 반대로 ‘안정형’과 ‘안정추구형’의 합은 51.6%에서 44.3%로 급감했다.
금융 투자 상품별 수익 경험률은 주식(32.5%)가 가장 높았고, 이어 펀드(9.0%)·만기환급형 보험(7.3%)·채권(6.5%) 등의 순이었다.
주식에 투자하는 부자들은 평균적으로 국내 주식 6.1개, 해외 주식 4.2개 종목에 투자하고 있었다.
부자들은 주식 외에도 금, 보석, 주택에 대한 중장기 투자를 선호했다. 자산 증식의 주된 원천은 사업소득(32.8%)과 부동산 투자(26.3%)였으며, 자산 증식의 ‘종잣돈' 규모는 평균 7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이 종잣돈을 평균 42세에 모았다고 답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尹이 쏘아 올린 '통신3사' 담합 과징금...억울한 통신 3사, 왜?
2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3'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4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5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6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7"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8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9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