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역대급 추석 '황금연휴' 올까…10일 '임시공휴일' 촉각, 효과는?

약 두달 앞으로 다가온 추석 연휴에 임시공휴일이 적용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0월 10일 하루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 따로 휴가를 쓰지 않고도 10일의 '황금 연휴'가 되기 때문이다.
11일 교원투어 여행이지에 따르면 오는 10월 3일~9일 해외여행 수요는 지난해 추석 연휴(9월14일~18일) 대비 2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키지여행의 수요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이는 다가오는 10월 연휴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추석 연휴는 앞뒤로 개천절과 한글날이 있고 대체휴일까지 겹쳐 10월 3일부터 9일까지 무려 7일 연휴로 쉴 수 있다.
여기에 금요일인 10일 하루가 지나면 또 주말이 되므로, 10일 하루 휴가를 쓰면 최장 열흘 연속으로 쉴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 같은 황금 연휴를 앞두고 10월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앞서 올해 설 명절에는 1월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뒤 설 연휴가 3일에서 6일로 늘어났다.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지정하는 것은 연휴 기간을 늘려 내수 소비를 늘리기 위한 목적이 크다.

다만 임시공휴일 지정이 국내 소비 진작 효과를 불러오지 않았다는 조사도 나온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6월 내놓은 '임시공휴일 지정의 명암' 보고서에서 "국민들의 해외여행이 늘어나면서 임시공휴일과 내수 활성화의 연결고리가 점차 약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휴가 길어지면 국내 소비가 아니라 해외 여행을 통해 해외에서 소비를 하게 된다는 분석이다.
설 연휴 임시공휴일이 지정된 올해 1월 해외관광객은 297만3000명으로 전월 대비 9.5%,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했다. 월 단위를 기준으로 할 때 1월의 해외관광객은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수출과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1월 조업일수(20일)는 전년 동월 대비 4일 감소했고, 이는 일시적 수출 둔화로 나타났다. 1월 수출 규모는 491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0.2% 감소했다. 1월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6%, 전년 동월 대비 3.8% 감소했다.
입법조사처는 "1월27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정부가 기대한 수준의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며 "임시공휴일이 수출과 생산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고려하면 경제 활성화에 미친 순(긍정-부정)효과는 상당히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축복인가 재앙인가'…中연구팀 "1년뒤 임신 로봇 출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안정환 子, '아빠 어디가' 꼬마가 이렇게나 컸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변 없었다…조국·정경심·윤미향 '광복절 특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빌려줘도, 증자해줘도 문제"…여천NCC 지원방식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일라이 릴리 vs 노보 노디스크, 먹는 비만약 전초전서 노보 勝?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