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국내 금 ETF 자산 2.6배 급증…'3600달러 시대' 열리나
- 불확실성에 안전자산 선호↑

8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상장된 금 ETF 10종의 순자산 합계는 4일 종가 기준 2조2775억원으로, 작년 말 동종 펀드의 총 순자산액(8772억원)과 비교할 때 9개월 만에 약 2.6배로 불어났다.
규모가 가장 큰 상품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KRX금현물' ETF로, 순자산이 1조4918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골드선물(H)'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KRX금현물'이 각각 2853억원과 2070억원으로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최근 한 달 수익률은 ACE KRX금현물 상품이 6.11%였고, KODEX 골드선물이 5.58%, TIGER KRX금현물 6.01%로 나타났다.
나머지 상품들도 금의 가격을 거꾸로 추종하는 '인버스' ETF 1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한 달 수익률이 5%대 이상이었고, 이중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는 11.43%를 기록했다.
금은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통상 분쟁, 지정학적 위기 등 요인이 겹치면서 인기가 계속 오르고 있다.
금은 보관·운송 비용이 커도 가치 보존 수단으로서의 신뢰성이 강해 통상 기존 체제에 대한 우려가 늘면 몸값이 뛴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의 금리 인하 전망과 달러화 및 국채 가치의 하락 불안감이 증폭하면서 국제 금값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은 3일 사상 처음 트로이온스(Troy Ounce·약 31.1g)당 3600달러(약 500만원)를 돌파했고, 골드만삭스는 금값이 5000달러(약 700만원)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치를 지난 5일 내놨다.
금 ETF는 상장 펀드라는 특성 덕분에 주식을 사는 것처럼 '클릭' 몇 번으로 금에 투자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금 ETF 거래엔 주의가 필요하다.
금 ETF는 크게는 현물형과 선물형으로 나뉜다. 이중 선물형 금 ETF는 파생금융 상품인 금 선물(future)에 투자하는 것이 골자로, 통상 수익률이 현물형보다 높지만, 작동 메커니즘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현물형 ETF도 투자 대상이 국내 금 시장인지, 글로벌 시장인지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금투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국 금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은 우리가 주변에서 접하는 금 시세를 바로 반영하고 불필요한 비용 발생 여지가 적지만, 김치 프리미엄(국제 금값보다 국내 금값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글로벌 시장에 투자하는 경우는 반대로 지역 프리미엄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라며 "그러나 현재 해외 금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탓에 국제 금 투자 ETF는 해외 상장 ETF를 편입하는 만큼, 재간접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금 ETF 투자는 서구권에서 더 활발하다.
세계금협회(WCG)에 따르면 지난 달 전 세계의 금 ETF에 유입된 자금은 총 55억달러(7조6000억원)에 달했고, 이 중 41억달러(약 5조7000억원)는 출처가 북미 지역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코아스, 노벨티노빌리티 인수 계획 무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경찰 “故 대도서관 부검 완료” 사인 확인 나선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전세대출 줄어드나요" 문의 빗발…은행 비대면 신청 셧다운 악순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BBB급 케이카캐피탈, 회사채 시장 데뷔전 나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한가’ 엘앤씨바이오 “CAPA 문제없어…리투오 품귀, 곧 해소”[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