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한화 LG 한국시리즈 볼려면 200만원? 암표 매년 느는데…
지난 25일 티켓 재판매 플랫폼 ‘티켓베이’ 등에는 이날부터 한국시리즈 1~7차전 입장권을 되판다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일부 판매자는 정가의 5배 이상, 많게는 16배 높은 가격을 제시했다. 1차전 잠실야구장 테이블석(정가 12만원)은 200만원에 거래됐고, 6차전 테이블석(정가 14만4천원)도 150만원에 올랐다.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포수후면석(정가 15만6천원)은 100만원에 거래되는 등 웃돈 거래가 이어졌다.
이 같은 암표 거래에 팬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SNS 상에서는 “암표가 이렇게 많은데 단속이 되지 않는다”, “실제 자리가 비는 이유가 암표 때문” 등의 반응이 잇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 따르면 암표 관련 신고와 모니터링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조치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2025년 10월 기준 모니터링 25만5천여건 중 조치된 사례는 4천977건(1.9%)에 불과했다. 신고 접수 3만8천900여건 가운데 조치된 건도 2천155건(5.5%) 수준이다.
협회는 대부분의 조치가 경고문 발송에 그친다고 설명했다. 좌석번호가 특정된 경우에만 예매 여부를 확인해 ‘암표 신고 사실’과 ‘자진 취소 요청’ 안내를 보내며, 실제 형사처벌 사례는 거의 없다. 좌석 정보가 없는 경우 판매자를 특정하기 어려워 후속 조치도 이뤄지지 않는다.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은 지난해 개정돼 매크로(자동 예매 프로그램)를 이용해 구매한 입장권을 되팔 경우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법이 매크로 이용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일반 암표 거래는 단속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매크로 사용은 접속 패턴 등으로 추정만 가능해, 수사기관이 회원 정보를 확보하지 않는 이상 입증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매크로 여부와 무관하게 입장권에 웃돈을 붙여 거래하는 행위 전반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 암표 판매를 전면 금지하고, 처벌 수위 강화 및 범죄 수익 몰수·추징을 권고했다.
문체부는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입장권 부정판매 기준을 ‘자신이 구매한 가격’에서 ‘판매 정가’로 명확히 하고, 매크로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웃돈 거래 자체를 처벌하는 방향으로 공연법·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검토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4000피’ 고지가 코앞이다…APEC·FOMC에 쏠리는 눈[주간증시전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번 만큼은…" 우승 목마른 김경문,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4000피’ 고지가 코앞이다…APEC·FOMC에 쏠리는 눈[주간증시전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VC 한파 속 산업자본이 움직인다"…포스코, 철강 넘어 기술에 베팅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도프, 수익성 다변화 전략으로 상장 마지막 퍼즐 맞춘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