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용평가에 ‘이것’까지 활용…카카오뱅크, ‘카뱅스코어’ 비결 공개
- 택시·도서구매까지 반영…중·저신용자 문턱 낮춰
보안·상담·검색 모두 AI로…금융 실험 지속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카카오뱅크 오피스에서 열린 ‘2025 카뱅 커넥트’ 행사에서 조진현 카카오뱅크 신용리스크모델링팀장은 이같이 말했다. 카카오뱅크는 이처럼 다양한 대안정보를 활용해 자체 신용평가모델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만들었다.
조 팀장은 “카카오선물하기의 ‘나에게 선물한 사람 수’, 카카오모빌리티의 ‘주말 택시 평균 운임’, 교보문고 ‘외국어 도서 구매 권수’ 등도 신용평가에 반영되는 유의미한 변수”라며 “이렇게 개발한 카카오뱅크 스코어의 성능을 봤을 때, 대안정보만으로 개발했음에도 신용평가(CB)사에 준하는 높은 성능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대안신용평가 모델로…금융소외계층 포용
기존 금융정보 중심의 평가로는 중·저신용자나 씬파일러(금융이력 부족 고객)의 신용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에 카카오뱅크는 대안신용평가모형을 통해 금융 소외계층의 신용평가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카카오뱅크는 2019년 통신정보를 활용한 가점 부여로 대안정보 활용을 시작했다. 2021년에는 머신러닝 방식으로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모형에 비금융 정보를 반영해 중·저신용 대출 취급을 확대했다.
2022년에는 롯데멤버스·교보문고 등 가명결합데이터 1800만 건을 활용해 업계 최초의 독자적 대안신용평가모형인 ‘카카오뱅크스코어’를 개발했다. 앱 내 적금·이체 실적, 카카오 선물하기·택시 이용, 도서 구매 등 3800여 변수가 반영됐다. 2023년에는 개인사업자용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모형’을 구축, 음식점업·온라인셀러 등 금융접근성이 낮은 업종의 대출 문턱을 낮추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같은 신용평가모형을 통해 2025년 3분기까지 약 9893억원의 중신용대출을 추가 실행했다. 기존 금융정보 중심모형으로는 대출이 거절된 고객에게 추가로 대출을 공급했다는 의미다. ‘카카오뱅크스코어’는 특히 금융이력이 부족한 고객에서 변별력이 높았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스코어’와 ‘표준 CB점수’ 상위 30% 집단을 비교한 결과, 씬파일러와 저소득자 비중이 전자에서 더 높았다. 이는 비금융 데이터가 신용평가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카카오뱅크는 NICE평가정보와 협력해 ‘카카오뱅크 플랫폼 스코어(카플스코어)’를 외부 금융사에도 개방한다. 우선 ‘신용대출 비교하기’ 서비스 입점 금융사에 제공하고, 향후 적용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조진현 팀장은 “카카오뱅크를 넘어 전 국민이 보다 공정한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안신용평가모형의 저변을 확대해 진정한 의미의 포용금융을 실천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I 기술, 고객 경험 혁신으로 확장
카카오뱅크는 신용평가뿐 아니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서비스 혁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2월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선보였다. AI가 문자 내용과 단어 조합, URL 패턴 등을 분석해 스미싱 여부를 판별하고 근거를 함께 제시하는 기능이다.
올해는 ▲AI 검색 ▲AI 금융계산기▲인앱 상담 챗봇 등의 서비스를 잇달아 선보였다. AI 검색 서비스는 고객의 ‘적금 금리 알려줘’와 같은 질문에 최신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한다. AI 금융계산기는 AI가 고객의 질문을 이해하고 필요한 계산을 자동으로 적용해 정확도 높은 결과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매달 50만 원을 2년 동안 저축하면 얼마 모여?’라고 물으면 예시 금리를 반영해 결과를 알려준다.
인앱 상담 챗봇은 룰베이스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고객 문의 의도를 스스로 이해해 자연스럽게 응답한다. 현재 답변 실패율은 1% 이하를 기록해 더욱 수준 높은 개인화 상담이 가능해졌다.
이날 관련 설명에 나선 이재욱 카카오뱅크 AI고객서비스개발팀장은 “지금 현재 AI 금융계산기, AI 검색 등을 베타서비스로 각자 출시했다”면서 “추후에는 챗UI인 해당 서비스들을 하나로 합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카카오뱅크는 2022년 금융권 최초로 머신러닝 기반 ‘무자각 인증 기술’을 도입해, 고객의 터치 리듬과 화면 조작 패턴으로 본인 여부를 자동 판별하고 있다. 연령대나 고객 개인마다 고유한 ‘터치 리듬’이 있다는 것이 이 팀장의 설명이다.
이외에도 이상거래탐지(FDS)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안면인식 기반 신분증 진위 검증·OCR·RPA 자동화 기술을 통해 고객 인증과 내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카이스트와 공동 연구한 ‘설명 가능한 AI(XAI)’ 기술을 적용해 AI 의사결정의 근거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신뢰성과 투명성도 강화했다.
카카오뱅크는 AI·인증·빅데이터 등 신기술 연구를 핵심 성장축으로 삼고 있다. 10월 기준 국내 111건·해외 58건 등 총 169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국내외 학회에 16건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재욱 팀장은 “AI가 모든 문제를 해결하진 못하지만, 고객이 더 쉽고 안전하게 금융을 이용하도록 돕는 가장 유용한 도구”라며 “기술을 통해 금융소비자의 문제를 해결하고, 누구나 즐겁게 금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비혼시대 역행하는 ‘종지부부’... 귀여운 움이, 유쾌한 입담은 ‘덤’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0/02/isp20251002000123.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트럼프·시진핑 '세기의 담판' 시작…무역합의 여부 촉각(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法 “뉴진스-어도어 전속계약 유효...회사 남아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韓핵잠' 승인…영국에게도 안 내준 '극비 기술'(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코인社 M&A’ 본격화…거래소·커스터디 대형화 가속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네오켄바이오, 국내 첫 GMP 의료용 대마 생산시설 내달 착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