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2차 공공기관 이전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공공 주최 행사’ [E-MICE]
- 수도권 쏠림 지역 균형 발전 가로막는 요인
제도적으로 지역 개최 의무화해야
[이선우 The BeLT 센터장/관광·MICE 전문기자]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추진 중인 가운데 공공 주최 행사의 ‘지역 개최 의무화’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지금까지 153개에 달하는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본거지를 옮겼지만, 정례적으로 여는 행사는 여전히 서울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서다.
전국 각지에 전문시설인 전시컨벤션센터, 특급호텔이 들어섰는데도 관행처럼 수도권에서 행사를 개최해 공공기관 지방 이전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마이스 업계와 학계에선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앞서 수도권에 집중된 정부·공공주최 행사부터 지역으로 분산 재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공공 주최 행사가 되레 지역 균형 발전 저해
‘공공 주최 행사의 수도권 쏠림’은 정부가 오래 전부터 추진해온 지역 균형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업계에 따르면 전국 20개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정기 개최되는 정부·공공기관 주최 전시·박람회는 연간 129건이다. 이 가운데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열리는 행사는 89건에 달한다.
공공 주최 전시·박람회만 집계한 것으로 포럼이나 세미나, 발표회 등 컨벤션 행사는 제외한 수치다. 본거지를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하기 전부터 열던 것이지만, 지방 이전 이후 새롭게 론칭한 행사도 상당수로 나타났다.
전시 전문 회사 메쎄이상 조원표 대표는 “한때 80% 가까이 수도권에 몰린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비수도권 소재 비중이 54%까지 올라갔지만, 이들 기관이 여는 행사의 70%는 아직도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공공 주최 행사가 되레 지역 산업과 균형 발전을 저해하고 수십조원이 투입된 지방 이전 정책 효과까지 반감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마이스 3대 학회(한국마이스관광학회·한국무역전시학회·한국비지니스이벤트컨벤션학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13건) ▲대전(10건) ▲대구(7건) 등 지방 대도시에서 열리는 공공 주최 행사는 서울(58건)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모두 웬만한 수도권 내 전시컨벤션센터보다 큰 규모의 행사 시설을 갖춘 곳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산업단지를 보유한 경남 지역은 공공 주최 전시·박람회가 연간 단 3건(2.3%)에 그쳤다. 1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함께 ▲전북(농생명) ▲경북(첨단 모빌리티) ▲경남(항공우주) ▲부산(해양·금융) ▲대구(헬스케어) 등 11개 광역 시·도에 들어선 산업 특구와 클러스터는 총 87개에 달한다.
전국 단위로 조성된 산업단지와 특구, 클러스터와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조 대표는 “전시·박람회는 단기간, 특정 장소에서 열리지만, 그 효과나 영향은 지역의 산업 구조, 지식 생태계에 장기적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며 “공공 주최 전시·박람회의 수도권 쏠림을 일 년 중 단 며칠만 해당하는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문제로 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전시장 꿰찬 공공 행사로 민간 설 자리 줄어
공공 주최 행사가 코엑스, 킨텍스 등 수도권 주요 전시장을 선점해 민간 주최의 신규 행사가 설 자리가 줄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시컨벤션센터는 통상 유사 품목 행사의 신규 배정을 제한하거나 최소 한 달 이상 간격을 두게 돼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시 주최사 대표는 “공공 주최 행사가 수도권 전시장을 죄다 꿰차고 있어 웬만한 신규 행사는 비집고 들어갈 틈이 전혀 없다”면서 “결국 수도권에서 밀려난 작은 규모의 인지도 낮은 신규 행사만 지역으로 몰리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공공 주최 행사의 지나친 수도권 쏠림을 해소하기 위해선 제도적으로 지역 개최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게 학계와 업계의 주장이다. 지방 전시장의 안정적인 운영 기반 확보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풍부한 자금력에 월등한 기업·바이어 동원 능력을 갖춘 공공 주최 행사의 지역 개최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공 주최 행사가 지역으로 빠져나가면서 매년 포화 상태인 수도권 전시장의 임대 상황에도 숨통이 트여 신규 행사 개발도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한다.
조 대표는 “지역 마이스 활성화 측면에서도 신규 행사를 기업·바이어 동원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수도권 전시장에서 인큐베이팅한 후 지역으로 확대하는 게 가장 현실적이고 이상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에선 정부 부처 등 중앙행정기관 주최 행사는 공모를 통해 전국 순회 행사로 전환하고, 공공기관 행사는 관련 산업 특구와 단지가 있는 곳에서 개최해 지역특화 행사로 업그레이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박스) 한전 BIXPO, 지역 개최로 3600억 경제효과…“지역 내 마이스 인프라 확충은 풀어야할 과제”
지난 5일부터 7일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 국제 전력기술 엑스포’(BIXPO)는 공공기관 주최 지역 행사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손꼽힌다.
지난 2014년 전남 나주로 이전한 한국전력공사가 이듬해인 2015년 혁신도시 일대 전력·에너지 관련 산업 집적단지와 연계 개최해 호남 지역을 대표하는 국제 행사로 자리 잡았다.
10주년인 올해 행사엔 전국 10개 광역지자체 등 국내외에서 166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해 사흘간 2만 2000여 명이 방문했다. 올해까지 행사에 참여한 국내외 기관과 기업, 바이어는 65개국 약 2000개, 40만 여 명이다.
주최 측은 행사 개최로 광주전남 지역이 누린 경제적 파급효과는 3600억원 이상이라고 본다.
지역에서 열리는 중앙행정기관 주최 행사로는 ▲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행정안전부의 ‘대한민국 안전산업 박람회’ 등이 있다.
지난해까지 경기도 고양(킨텍스)에서 열리던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는 올해 처음 전국 공모를 통해 부산(벡스코)에서 열렸다. 대한민국 안전산업 박람회도 지난 2022년 대구(엑스코) 개최를 시작으로 홀수 해는 수도권인 경기도 고양(킨텍스), 짝수 해는 비수도권에서 열리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한국전력공사 BIXPO 기획단 관계자는 “공공 주최 행사의 지역 개최가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 필요하지만 아직 한계도 있다”며 “더 많은 공공 주최 행사가 지역에서 열리려면 수도권에 비해 부족한 직항 항공노선 등 교통편 외에 행사장, 숙박시설 등 인프라가 더 확충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갓 잡은 갈치를 입속에... 현대판 ‘나는 자연인이다’ 준아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21/isp20251121000010.400.0.jpg)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美동물 실험 축소하나…CDC, 원숭이 실험 중단 예고[제약·바이오 해외토픽]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왓IS] 민희진 “난 원래 민주당 지지, 문재인 전 대통령 뽑아”…직원에 특정 정치관 강요 의혹 해명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천스닥 시대' 온다고 믿습니다"…외인들, 코스피 던지고 우르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엔씨 美법인 지분 사들인 유럽법인…존재감 다시 드러내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인공관절 수술, 톱질이 아니라 밀링”… 제진호 원장이 선택한 10억 로봇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