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멈춘 금리, 경제는 반등신호]②
성장률 전망 올해 1.0%·내년 1.8% 잇따라 상향
성장 상하방 리스크 공존…반도체 경기 최대 변수
경제성장률, 올해 1.0%·내년 1.8%으로 상향 조정
한국은행은 11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제시했다. 지난 8월 전망보다 0.1%포인트(p) 상향 조정된 수치다. 지난 3분기 성장률이 1.2%로, 한은의 기존 전망치(1.1%)보다 높게 나온 점을 반영했다.
한은은 올해 연간 전망치를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올해 2월(1.5%), 5월(0.8%) 지속해서 낮추다가 8월(0.9%)부터 높이기 시작했다. 이번 한은 전망치는 한국금융연구원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이 제시한 1.0%와 같고,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0.9%보다 높다.
한은은 이날 2026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1.6%에서 1.8%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정부·한국개발연구원(KDI)·국제통화기금(IMF)이 각각 제시한 1.8%와 같고, 한국금융연구원(2.1%)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2%)보다 낮은 수치다.
특히 이번 전망치 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반도체 경기다. 올해 전망치 조정 규모 0.1%p를 구체적으로 나눠보면 ▲반도체 경기 0.05%p ▲외국인 관광객 등 0.05%다. 내년 전망치 조정규모 0.2%p를 살펴보면 ▲반도체 경기 0.1%p ▲한·미협상 타결 0.1%p ▲정부 예산액 증가 0.1%p 등이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올해 하반기의 경우 소비는 심리 호조와 소비 쿠폰 지급으로 빠르게 개선됐고, 수출은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반도체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성장 흐름을 보면 내수 회복세와 반도체 경기 호조에 힘입어 성장세가 확대될 것”이라며 “소비 회복세가 지속되고 건설 부진이 완화되겠으며, 수출은 관세 영향으로 둔화되겠지만 반도체의 경우 양호한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한은은 이날 2027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로 처음 제시했다. 지난해 2.0%에서 올해 1.0%로 성장률이 반토막 난 뒤 2026년 1.8%, 2027년 1.9%까지 3년 연속 1%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0%에서 2.1%로, 1.9%에서 2.1%로 각각 높였다. 국제 유가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원/달러 환율이 1450원대 위로 뛰면서 수입 물가가 높아진 점 등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한은은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2025년 1150억달러, 2026년 1300억달러로 지난 전망경로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추후 성장 경로 변수는 ‘반도체’
향후 성장 전망경로에는 글로벌 통상환경·반도체 경기 등과 관련한 상·하방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성장 상방요인은 ▲글로벌 무역갈등 추가 완화 ▲반도체 경기 추가 개선 ▲방한 관광객수 증가세 확대 등이 꼽힌다. 하방요인으로는 ▲무역갈등 재격화로 통상환경 불확실성 지속·확대 ▲국제금융시장 불안 ▲비IT부문 부진 심화 등이 꼽힌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수출이 국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AI 성장세 지속 기대감과 과잉투자 우려가 혼재하며 반도체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한은은 대안적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낙관 전망으로는 AI 확산으로 견조한 반도체 수요가 이어지고 미국의 반도체 품목관세도 보류되면서, 우리 반도체 수출이 금년 10%대 중반에 근접한 수준의 증가세를 지속하는 상황을 가정했다. 이 경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기본전망 대비 ▲2026년 0.2%p ▲2027년 0.3%p 상승하고, 물가상승률은 ▲2026년 0.1%p ▲2027년 0.1%p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부정 전망으로는 AI 투자가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반도체 수출의 증가세가 내년 하반기 중 둔화되고 내후년에는 정체되는 상황을 가정했다. 이 경우 국내 성장률은 기본전망 대비 ▲2026년 0.1%p ▲2027년 0.3%p 하락하고, 물가상승률의 경우 2026년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나 2027년에는 0.1%p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반도체 관세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박세준 한국은행 국제종합팀장은 “AI 투자는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패권 경쟁을 하고 있어 미국 측이 반도체에 대해 과한 관세율을 책정하진 않을 것 같다”며 “2026년 3분기부터 반도체에 관세를 15% 정도 부과할 것으로 전제해 이번 경제 전망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갓 잡은 갈치를 입속에... 현대판 ‘나는 자연인이다’ 준아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21/isp20251121000010.400.0.jpg)
![딱 1분… 숏폼 드라마계 다크호스 ‘야자캠프’를 아시나요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9/isp20251109000035.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정청래, '측근' 장경태 '성추행 피소'에 진상파악 지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이경 측 "루머 폭로자, 사전모의 정황 포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나로호 보며 꿈꿨다”… 누리호 4차 성공이 만든 두 대표의 ‘우주 도전 서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가능성 별로"…SNS발 회생루머에도 롯데건설 회사채 차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펩트론발,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업가치 대변화...동국제약 ‘안정’·지투지 ‘한방’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