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 자본주의의 꽃’으로 불리는 주주총회가 시작됐다. 올해는 사외이사 연임 제한, 전자투표제 확산 등 제도 변화와 함께 일반주주들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표출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주주총회 안건 중 가장 눈여겨볼 것이 사내이사 선임이다. 특히 오너 중심의 기업 거버넌스(지배구조)와 승계 구도가 맞물린 기업들은 주총의 격전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너 일가의 경영권 승계 문제가 한국 기업 지배구조 변화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사외이사 찾기’는 상장사들의 난제로 떠올랐다. ‘사외이사 임기를 6년으로 제한’하는 법이 시행되면서 상장사들은 사외이사 구인 대란에 빠졌다. 코스피와 코스닥을 포함한 556개 상장사가 총 718명의 사외이사를 새로 선임해야 한다. 국민연금은 주총의 또다른 주인공이다. 지난해 12월 ‘국민연금기금 적극적 주주활동 가이드라인’을 의결한 데 이어 최근 수탁자책임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했다. 어느 때보다 주주권 행사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올해부터 적극적으로 시행되는 전자투표제는 소액주주의 목소리를 담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9개 계열사가 이번 주총에 도입한다. 전자투표제가 도입되면 소액주주들도 손쉽게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길이 생긴다. 주주총회 전자투표 시대의 막이 본격적으로 오른 셈이다. 2020년 주주총회의 새로운 변수와 그 영향을 취재했다.
- 이코노미스트 편집부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못 찍어 후회" 분통 터뜨린 부산 시민들, 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마켓인
'송하윤 학폭 논란' 최초 유포자, 수사엔 불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갈아타기 포기할래요"…수십억 '계약파기' 속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코리아디스카운트’ 부추기는 공시 간소화?…정보 불균형 심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항생제 사업에 힘싣는 JW중외제약…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