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온은 미국 콜로라도주에 본사를 둔 재생에너지 기업 플랫아이언 에너지 개발(Flatiron Energy Development)과 1GWh 규모의 ES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SK온은 플랫아이언이 매사추세츠주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에 자사 LFP 배터리가 탑재된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2026년부터 공급할 예정이다.
또 SK온은 플랫아이언이 2030년까지 미국 전역에서 계획 중인 6.2GWh 규모 프로젝트에 대해 우선협상권(ROFO)을 확보했다. 이에 따라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최대 7.2GWh 규모의 ESS를 2026년부터 4년간 추가로 납품할 수 있게 된다.
회사는 내년 하반기부터 ESS 전용 LFP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SK배터리아메리카 공장의 일부 전기차 배터리 라인을 ESS 전용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지에서 직접 생산 체계를 구축해 공급 시점을 앞당기고 고객 수요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SK온은 전기차에 비해 부피와 중량 제약이 적은 ESS 특성을 고려해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이 높은 LFP 파우치 배터리를 적용했다.
이번 ESS 제품은 파우치 배터리를 적층해 고전압 모듈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 ESS가 랙 단위로 설계되는 것과 달리 SK온 제품은 모듈 단위로 구성돼 용량 확장과 맞춤형 설계가 용이하다.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인접 모듈 간 열 확산을 막는 솔루션과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기반 배터리 진단 시스템을 탑재했다. EIS는 배터리에 미세 전류를 흘려 내부 저항과 반응 특성을 측정해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술이다.
이번 수주는 SK온이 지난해 12월 ESS 사업실을 대표이사 직속 조직으로 격상한 이후 거둔 첫 성과다. 이석희 SK온 대표는 지난 7월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 제고 전략 설명회’에서 미국 ESS 시장 진출 확대 의지를 밝힌 바 있다.
회사는 ESS용 LFP 생산을 통해 제품 라인업을 다변화하고, 전기차 배터리 수요 둔화 국면에도 안정적 성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연말에는 국내 장주기 ESS 프로젝트 대응을 위해 국내 LFP 생산 라인 구축도 추진할 예정이다.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이번 계약은 SK온이 배터리 케미스트리와 사업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확장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첨단 배터리 기술과 현지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해 북미 ESS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나단 푸어 플랫아이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기술력과 현지 생산 능력을 지닌 글로벌 배터리사와의 협력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며 “SK온과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예정된 복수의 프로젝트에서도 협력을 이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1년 설립된 플랫아이언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부지 확보부터 설계·시공·운영까지 ESS 사업 전 과정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이 회사는 블랙록(BlackRock)과 헐 스트리트 에너지(Hull Street Energy) 등 글로벌 투자사로부터 자금을 유치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신라젠, 항암바이러스 심포지엄서 ‘GEEV’ 플랫폼 연구 성과 발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쯔양, 첫 고정 예능 도전…반가운 이유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대통령, 양대노총에 경사노위 참여 요청…"만나서 대화해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준오헤어 품은 블랙스톤?…'대규모 투자' 두고 엇갈린 해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아이오니스 ‘올레자르센’ 적응증 확대 ‘청신호’…에스티팜도 ‘방긋’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