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여행지 돈 쓰면 50% 돌려준다? 李 대통령 언급한 '이곳' 정체는

6일 강진군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의 2026년도 예산안에 '지역사랑 휴가 지원 시범사업'(65억원)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사업은 인구감소지역을 대상으로 여행 시 최대 20만원 한도에서 사용 금액의 50%를 지역화폐로 되돌려주는 사업으로, 지난해 강진군이 처음 도입해 시행한 '반값 여행'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강진군은 지난해부터 관광객이 지역에서 소비한 금액의 절반을 최대 20만원까지 지역화폐인 강진사랑상품권으로 환급했다.
그 효과로 2024년 강진을 찾은 관광객은 전년보다 18%(43만명) 늘어난 282만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반값 여행 참여자가 지역에서 지출한 금액과 상품권 정산액은 총 69억원이었다.
숙박·음식·관광업 등 지역 내 1천800개 이상의 업체가 실질적인 혜택을 본 것으로 강진군은 집계했다.
사업이 시작된 지 4개월 만에 배정된 예산이 모두 소진됐으며, 지난달 4일 기준 4만4천671팀이 사전 신청해 이 중 3만1천282팀이 실제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강진에서 소비한 금액은 84억3천만원, 이 가운데 38억7천만원이 모바일 상품권으로 환급됐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일 열린 제40회 국무회의에서 직접 강진을 언급하며 "동네 와서 쓴 돈의 몇 %를 지역화폐로 돌려준 게 상당히 효과가 있었던 것 같다"며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 아이템을 만드는 게 중요할 것 같다"고 강조한 바 있었다.
해남, 여수 등 전남은 물론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 하동과 경북 상주에서는 최근 강진을 직접 방문해 신청·숙박·관광까지 실제 반값 여행을 체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 장성·완도·영암, 경남 하동·산청, 충남 홍성, 대전시 등에서도 반값 여행과 유사한 관광 지원 정책을 시행하거나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강진원 강진군수는 "반값 여행은 단순한 관광 지원책이 아니라,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절실함에서 비롯된 전략적 투자"라며 "앞으로도 강진형 모델의 가치를 전국에 확산시켜 대한민국 관광과 지역경제 회복의 중심축이 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성질 안 죽었네’ 상대 코치에게 침 뱉은 수아레스, 6G 출장 정지 중징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김종국, 비밀리에 결혼…'방송 나오냐' 질문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본처럼 폭락?”…韓 부동산은 전혀 다르다[손바닥부동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보다 더 큰 문제…LS 에식스솔루션즈, 다층 지배구조에 상장 난항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뜨거워진 글로벌 RNA 선점 경쟁... 러브콜 받는 K바이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