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폭탄, 터지기 시작했다…“빚 갚는 것 포기” 급증
가계빚 총 1869.4조원…사상 최대
7월 가계대출 금리 4.52%…저축은행은 10% 넘어
대출자의 채무조정 신청 급증 분위기

가계대출 부실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최근 1년 사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환경이 고착화되며 대출자들의 실질소득은 감소하고 이자 부담은 가파르게 높아지는 중이다. 연체에 못 이겨 파산에 직면하는 경우도 확대되고 있다. 1869조원으로 불어난 가계 빚이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진다.
채무불이행 신세 대출자 빠르게 증가
일례로 채무조정을 통해 빚을 감면받는 대출자들이 최근 빠르게 늘었다. 업계에서는 이런 이유로 정부가 나서 10월부터 진행할 30조원 규모의 자영업자·소상공인 채무조정 프로그램인 ‘새출발기금’에도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신복위)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복위의 개인 워크아웃(채무조정)을 통해 대출 원금의 50% 이상을 감면받은 사람은 3만772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8년 1만9943명과 비교해 3년 만에 89%(1만7784명)나 증가한 것이다.
50% 이상 원금 감면자 수는 ▶2018년 1만9943명 ▶2019년 2만2404명 ▶2020년 3만1970명 ▶2021년 3만7727명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이 숫자는 올해 들어와 7월까지 2만1501명에 달했다. 전체 개인워크아웃 확정자 수 대비 50% 이상 원금 감면자 비율은 2018년 27.7%에서 2022년 7월 45.6%로 높아졌다. 감면 대상자들의 나이는 평균 40∼50대다. 2021년에 원금의 50%이상을 탕감받은 금액은 평균 3727만원으로 나타났다.
20대가 받은 대출도 시한폭탄으로 꼽힌다. 젊은 세대의 채무 불이행이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신용정보원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20대 채무불이행자는 8만4000명에 달했다.
이들 중 절반 정도인 41.8%가 500만원 이하 대출금을 갚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500만원 초과 1000만원 이하 대출자는 1만7900명(21.2%)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아울러 올해 1∼5월 중 접수된 20대 개인회생 신청자 수는 총 5241명으로, 지난해의 992명을 크게 웃돌았다.
대출금리 상승은 파죽지세…부실 우려 높아져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78.4%가 변동금리 대출로 나타났다. 2014년 3월(78.6%) 이후 8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이 수치는 금리가 상승하는 중에서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말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73.5%를 기록했다. 고정·변동금리 대출이 모두 높아져 대출자들이 향후 금리 하락을 기대하고 변동금리를 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6월 말 기준 가계신용은 총 1869조4000억원이다. 산술적으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될 때마다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은 3조6640억원(1869조4000억원×78.4%×0.25%) 증가하는 상황이다.
현재 대출금리는 계속 가파르게 오르는 중이다. 7월 중 가계대출 금리는 연 4.52%로, 지난해 말보다 0.86%포인트 상승해, 9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특히 상호저축은행의 대출 금리는 10.53%로 10%를 넘었고, 신용협동조합은 5.04%, 새마을금고는 4.79%를 기록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이사는 “주목해야 할 부문은 대출금리 인상 속도와 함께 예상되는 은행의 대출 축소 여부”라며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은행이 대출 공급 마저 줄인다면 금융회사의 유동성 위험이 가계 부채 위험으로 전이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동산에 쏠린 빚만 ‘연간 100조원’ 이상...11년 만에 2.3배로
2거래소, 6월부터 파생상품 야간거래 1시간 연장
3LIG넥스원, 美 방산 기업 안두릴과 미래전 무기체계 개발협력
4백종원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안 한다…논의 중단돼”
5원/달러 환율, 다시 1470원선 위협…어디까지 오를까
6지그재그, 브랜드 편집숍 ‘셀렉티드’ 정식 론칭...거래액 최대 2782%↑
7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금융위 혁신금융 신규 지정
8트럼프 관세, 셈법 들여다보니…"美 무역적자 0으로"
9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특별출연에도 '통편집'…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