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IST

3,402

Meta strengthens Instagram teen protection… blocks exposure to sensitive content

산업 일반

Meta is implementing strengthened protection policies for Instagram accounts belonging to teenagers. Meta announced today through a press release that it will operate Instagram accounts for teenagers similarly to the 'PG-13' movie rating system.This means that teenage users will see content comparable to what is found in PG-13 rated films, including measures such as hiding or not recommending content that could encourage potentially harmful behaviors, such as posts with excessive profanity or those featuring cannabis-related products, the company explained.Meta has also decided to block search results for a broader range of adult-oriented topics from being seen by teenagers, including content related to 'alcohol' and violence, in addition to sensitive topics like suicide, self-harm, and eating disorders that were already restricted.Furthermore, the new measures include preventing teenage users from following or messaging accounts that are identified as regularly sharing content inappropriate for minors.In the American film rating system, 'PG-13' is assigned to content that is not recommended for viewing by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Meta explained that the newly introduced content restriction setting system is designed to allow parents to have more detailed control over their children's Instagram content.Meta stated that it began applying these updated settings to teenage account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Canada starting today, with completion expected by the end of the year, and plans for a global expansion thereafter.However, civil organizations remain skeptical of Meta's latest actions, AP reported.Josh Golin, executive director of the nonprofit Fairplay, stated, "We're very skeptical of how this will actually be implemented," adding, "These announcements simply appear to be Meta trying to stave off unwanted regulatory legislation."He further commented, "Such flashy announcements alone won't keep kids safe; genuine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will make that possible."Aileen Areasa, executive director of the parent organization ParentsTogether, also emphasized, "We've heard similar promises from Meta before, but every time these safety features have fallen short in execution." She stressed, "We need transparent and independent testing of their effectiveness and true accountability."▶원문 기사: 메타, 인스타그램 청소년 보호 강화…민감 콘텐츠 노출 차단 (이코노미스트, 2025. 10. 15)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영문으로 번역하며 이슈를 팔로우업한 기사입니다. 차세대 글로벌 경제 리더, <영 저널리스트 with 이코노미스트> 영문 기사는 매주 연재됩니다.

2025.10.20 12:49

3분 소요
Apple CEO Tim Cook visited the father of Labubu in China… Why?

산업 일반

The CEO of Apple Tim Cook visiting China and meeting Popmart’s CEO who made the doll Labubu that took the world by storm has become a hot topic. According to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SCMP) of Hongkong on the 14th, Tim Cook ,who visited China twice this year, met the Labubu designer from Hong Kong Kasing Lung and the Popmart CEO Ning Wang at the Labubu exhibition held in Shanghai Huangpu.CEO Cook shared a post on Weibo(Chinese X) saying “I enjoyed watching the process of designing Labubu by using iPad Pro” with a video taken during his visit.He received a gift from them, a Labubu that resembles him with the same glasses and clothing. The doll holds Apple’s new iPhone 17 cosmic orange in its hand.SCMP said that what they were specifically discussing is unknown.However, after their meeting was reported, the stock price of Popmart on that day rose by 6%, on the Hong Kong stock market.Labubu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Chinese toy brand Popmart, made by Kasing Lung. It is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Monsters’, a small fairy that has 9 sharp teeth.As they partnered with Popmart and became a character doll that is sold by a random box, it has gained worldwide popularity.▶원문 기사: 中 방문 애플 팀 쿡, '라부부 아버지' 만났다…왜? (이코노미스트, 2025. 10. 14)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영문으로 번역하며 이슈를 팔로우업한 기사입니다. 차세대 글로벌 경제 리더, <영 저널리스트 with 이코노미스트> 영문 기사는 매주 연재됩니다.

2025.10.20 12:37

2분 소요
스마일샤크, AWS와 전략적 협력 협약(SCA) 체결…국내 기업 생성형 AI 혁신 가속화

산업 일반

AWS 프리미어 티어 파트너 스마일샤크(대표 장진환)는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국내 기업의 AI 전환(AX)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SCA, 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스마일샤크는 본 협약을 통해 AI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장할 예정이다. AWS와 협력하여 산업 특화 AI 솔루션 구축, 고객 맞춤 트레이닝, 운영 지원 등 기업의 AI 도입 전 여정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스마일샤크는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과 아마존 Q 디벨로퍼(Amazon Q Developer) 등 AWS의 첨단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해 국내 주요 산업 전반에서 AI 도입을 가속한다. 더불어 ▲지능형 IT 운영 자동화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석 ▲클라우드 기반 DevOps 자동화 ▲AI 활용 원클릭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등을 포함한 5대 미션 크리티컬 솔루션을 선보인다.각 솔루션은 보안성·확장성을 갖춘 AWS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 기반이다. 고객의 주요 과제(보안 이벤트 검증, 예측 분석, 업무 자동화·최적화, 실시간 IT 성능 모니터링 등)를 해결한다. 여기에 스마일샤크 실전 구축경험을 더해 공동 영업·클라우드 및 AI 최신 기술 트레이닝·전담 솔루션아키텍트 지원까지 아우르는 협업을 확대한다.스마일샤크는 금융, 리테일, 법률, 교육, 공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AWS 기반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다. 예로써 한 국내 대형 로펌은 스마일샤크 지원으로 AI 기반 AWS 네이티브 솔루션을 도입해 데이터 업무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고도화했다. 또한 정부 정책 자료, 금융 리포트, 통계 데이터 등을 자동으로 수집·정제·분석하는 AI 기반 부동산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구축하여 공공·민간 데이터 통합 분석과 정책 변화·시장 트렌드 예측 등 진일보한 결정지원과 산업 혁신을 실현하고 있다.허정열 AWS 코리아 파트너 사업 총괄은 “생성형 AI는 한국 조직의 혁신, 운영, 그리고 가치 창출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AWS의 보안과 확장성을 갖춘 클라우드 인프라, 업계 최고 수준의 AI 서비스와 스마일샤크의 산업별 맞춤형 전문성을 결합한다는 의미"라며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AI 도입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자신 있게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장진환 스마일샤크 대표는 “AWS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AWS의 첨단 생성형 AI 서비스와 전문 파트너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내 고객이 미래 경쟁력을 갖춘 AI 혁신을 더욱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스마일샤크가 보유한 클라우드 구축 경험과 산업별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이 실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스마일샤크는 2025년 5월 AWS 생성형 AI 컴피턴시(Generative AI Competency)를 획득해 핵심 기술력과 고객 맞춤형 구현 실적을 공식 인정받았다. 해당 인증은 엄격한 기술 심사와 고객 사례 평가를 거쳐 부여되는 것이다. 이는 AWS 기반 생성형 AI 솔루션 설계·구현·배포까지 성공 실적을 입증한 파트너만이 받을 수 있다.

2025.10.15 09:00

3분 소요
“Employees Who Can’t Adapt to AI, Leave” — Over 10,000 Workers Laid Off

산업 일반

An American IT consulting company has dismissed 11 thousand people over the past three months, saying that those unable to undergo retraining for the AI era should leave.Julie Sweet, the CEO of an American IT consulting company, Accenture, stated during the conference call, on the 25th(local time), that “We are starting to unemploy lay off people that can’t follow the education process of the skills that we need.”Over the past 3 months, Accenture has laid off over 11,000 people.Julie Sweet warned that the company will start to laid off those who can’t undergo the process of education in the AI era.Accenture announced that they are doing a restructuring program using about 865 million USD until late November.In the fiscal year that ended in August, generative AI projects increased from about $3 billion to 5.1 billion. Also, about 77 thousand people were working on AI data and technology department.▶원문 기사: "AI 적응 못 하는 직원은 나가"...1만명 넘게 잘랐다 (2025. 9. 26)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영문으로 번역하며 이슈를 팔로우업한 기사입니다. 차세대 글로벌 경제 리더, <영 저널리스트 with 이코노미스트> 영문 기사는 매주 연재됩니다.

2025.10.11 22:08

2분 소요
Korea Ends UNSC Presidency in September, Leading Debate on AI and Global Security

산업 일반

South Korea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UNSC, had successively finished the rotating presidency mission. According to the Permanent Miss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United Nations, the representative office held the session at the UN Headquarters in New York, led by Ambassador Cha Ji-hoon, to explain the accomplishments of Korea’s UNSC presidency over the past month.In this session, Jihoon Cha introduced the debate topic of AI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afety, as well as gratitude towards the UN. In the Korean Cultural Center New York, the Korean Mission held the last reception with about 170 participants from Security Council member states and UN Secretariat officials.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is the council which is responsible for world peace, and 15 member state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take turns serving as president for one month in alphabetical order.Presiding countries preside at unofficial conferences and have the authority to represent other UN member countries and UN organizations. South Korea is working as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for 2024~2025, which was in a year and 3 months after last June.▶원문 기사: "韓, 9월 안보리 의장국 임무 마무리…AI 안보 논의 주도" (이코노미스트, 2025.10.2)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영문으로 번역하며 이슈를 팔로우업한 기사입니다. 차세대 글로벌 경제 리더, <영 저널리스트 with 이코노미스트> 영문 기사는 매주 연재됩니다.

2025.10.11 21:35

2분 소요
李 대통령도 홍보대사 자처...‘팀코리아’ K-푸드 위해 뛴다

유통

정부와 기업의 시선이 K-푸드(한국의 음식 및 식문화)에 쏠린다. 글로벌 트렌드의 중심에 선 K-푸드로 인한 경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통령부터 민간기업까지 모두가 앞다퉈 K-푸드 홍보대사를 자처하고 있다.10일 업계에 따르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4일 독일에서 ‘K-푸드 수출기업 간담회’를 진행했다.이날 현장에는 송 장관을 비롯해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샘표식품 대표), 이우봉 풀무원 총괄대표 등이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수출 확대 및 시장 다변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이번 간담회는 송 장관의 아누가(Anuga) 2025 출장 일정(10월 3~5일)에 맞춰 진행됐다. ‘아누가’는 1919년 시작돼 2년마다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세계 3대 식품박람회 중 하나다. 글로벌 트렌드를 가장 빠르게 살펴볼 수 있어 식품업계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로 불리기도 한다.국내 주요 기업들은 K-푸드를 전 세계에 홍보하기 위해 아누가 2025에 참가했다. ▲농심 ▲동원 ▲대상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삼양식품 ▲샘표식품 ▲팔도 ▲풀무원 ▲BBQ 등 100여개 수출기업은 ‘Flavor Meets Trends’라는 주제로 현지에서 K-푸드의 매력을 적극 어필했다.정부는 K-푸드가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오는 2030년까지 K-푸드 수출액 150억달러를 돌파하는 게 목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정부는 한식과 전통주 등 수출 주력 품목을 육성한다. 또 K-푸드 거점 재외공관 확대 및 공적개발원조(ODA), 문화 마케팅 연계 등에도 집중할 계획이다.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JTBC의 ‘냉장고를 부탁해’(냉부해)에 출연한 것도 이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냉부해 출연에 대해 “K-푸드를 세계인들에게 알리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부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이번 냉부해 녹화에 참여하며 한국의 식재료인 시래기 등을 소개했다.K-푸드 관련 해외 수요는 올해 들어 더욱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지난 9월 29일 기준으로 100억달러를 돌파했다. 관련 수출액이 9월 중 100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K-팝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등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업계 관계자는 “트렌드라는 것은 언제 어느 방향으로 바뀔지 예상하기 쉽지 않다”며 “K-푸드의 관심이 높은 현 상황에서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 기업 등 이해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본다”고 말했다.

2025.10.10 16:00

2분 소요
르노코리아, 전국 전시장 연휴 정상 운영…추석 고객 대상 혜택도

자동차

르노코리아가 추석 연휴 기간 전국 전시장을 정상 운영한다.르노코리아는 추석 연휴 기간 중 전시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긴 연휴가 끝나는 오는 12일까지 이어진다. 고객들이 전국 전시장에서 브랜드 체험과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됐다.전시장에선 ‘비앙브뉴 쉐 르노’(bienvenue chez Renault)라는 이름의 추석맞이 전시장 이벤트가 열린다. 행사 기간 동안 전시장을 찾은 고객은 QR코드 인증만으로 르노의 감성을 담은 ‘프렌치 에코백’을 받을 수 있다.또한, 그랑 콜레오스·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하 세닉 E-Tech)·아르카나 모델의 시승, 상담, 계약을 진행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경품이 제공된다. 경품에는 ▲주유권 10만원권(30명) ▲다이슨 무선 청소기(2명) ▲르노코리아 차량 6박 7일 장기 시승권(10명) 등이 포함된다.전시장 주요 전시차량도 눈길을 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그랑 콜레오스는 넉넉한 공간, 효율적인 연비, 첨단 안전·편의사양으로 출시 1년 만에 5만대 이상 판매된 모델이다. 최근 출시 1주년을 맞아 사용자 환경(UI) 개선, 인포테인먼트 강화, 파노라마 선루프, 신규 컬러가 적용된 2026년형 모델이 선보였다.세닉 E-Tech는 LG에너지솔루션의 NCM 배터리를 탑재한 순수 전기차로, ‘2024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된 바 있다.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파이어맨 액세스’(Fireman Access), 소음과 진동을 줄여 정숙성을 높이는 ‘스마트 코쿤’(Smart Cocoon) 기술이 특징이다.쿠페형 SUV 아르카나는 스타일리시한 디자인과 합리적 구성이 강점이다. 하이브리드 E-Tech와 1.6 GTe 두 가지 라인업으로 제공되며,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알핀 감성을 담은 ‘에스프리 알핀’(esprit Alpine) 트림이 포함된다. 또한 아이코닉 트림에는 ‘컬러 패키지’를 선택해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행사 및 시승 관련 자세한 내용은 전국 전시장과 르노코리아 엔젤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5.10.02 10:42

2분 소요
“금요일에 떠나요” 주 4.5일제, 소비 진작 불씨 기대감 높아

정책이슈

주 4.5일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한국 직장인의 주말은 ‘금요일 오후’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 근무 시간이 단축되면서 생겨난 여유는 여행·소비로 이어져 새로운 생활 패턴을 형성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일찍 퇴근해 더 쓴다…4.5일제가 만드는 여행 특수‘주 4일제 네트워크’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30%는 노동시간 단축으로 확보한 여가 시간을 운동·레저·취미·여행 등에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이는 주 4.5일제가 국내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특히 관광·외식·레저 산업은 주 4.5일제의 최대 수혜 업종으로 꼽힌다. 금요일 오후 조기 퇴근 수요가 단체 여행 상품과 항공편 예약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서다. 항공·호텔·여행사 모두 주중과 주말 사이 애매했던 금요일을 ‘황금 소비 시간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실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수치로 따져보면 주 4.5일제의 잠재력은 더욱 뚜렷해진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체공휴일 확대의 경제적 파급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대체공휴일 1일의 경제 전체 소비지출액을 약 2조4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2년 평균 취업자 수 2809만명과 ‘2021 근로자 휴가조사’의 1인당 소비지출액 8만5830원을 곱해 추산됐다.소비 지출이 늘어나는 것뿐 아니라, 이를 통한 ▲생산유발액 약 4조8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약 1조9000억원 ▲취업유발인원 약 4만명 등 추가적 효과도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보고서는 음식점·숙박서비스의 소비지출액 비중이 가장 크고, 운송·음식료품·예술·스포츠 등으로 효과가 확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주 4.5일제와 관광의 만남, 지역경제 살릴 카드이에 지방자치단체들도 주 4.5일제를 관광 전략과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과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주 4.5일제 도입, 관광시장 안정화 및 단체 인센티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침체된 내수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주 4·5일제 도입 등을 통한 국내관광 위기 극복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주 4·5일제 도입 추진 등 노동 존중이 실현되는 사회를 위한 노동 관련 상호 협력체계 구축 ▲금융노조 산하 지부와 제주관광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및 인센티브 지원 ▲조합원 제주 ‘워케이션’ 참여기회 마련 및 참여프로그램 개발 ▲제주관광 정책 활성화 등 기타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업 논의 등이다.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제주도청은 이미 지난해 전국 최초로 주4.5일제를 시행했고, 그 성과가 대통령 선거 공약과 국정과제로 반영되면서 전국 확산의 물꼬를 텄다”며 “제주도는 금융노조와 함께 주 4.5일제 전면적 시행을 위해 손을 맞잡고 뛰겠다”고 강조했다.지역에선 미리 주 4일제 대응 방안을 연구해 본 사례도 있다. 장세길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 4일제 사회와 전북의 대응 전략 연구보고서’에서 주 4일제가 시행되면 1인 가구를 위한 ‘H.E.A.T. 상품’이 여가사회에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H.E.A.T. 상품’은 ▲헬스케어·취미(Health care·Hobby)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액세서리(Accessory) ▲여행(Tour) 상품·서비스를 의미한다. 장 연구위원은 “주 4일제에 따른 관광객 증가에 대비해, 전북의 특화 여가·레저 거점 및 상품으로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SOC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며 “도로를 신설하는 하드웨어적 노력도 중요하나,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종합적인 대책과 선도적인 도입도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주 4.5일제, 내수 살릴까 해외로 빠져나갈까다만 우려도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근로시간 단축이 해외여행 증가로 이어질 경우 내수 진작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게다가 소비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청년층·저소득층의 경우 제도의 혜택을 체감하기 어렵고, 금요일 오후 교통 혼잡과 관광 수요 관리가 새로운 과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실제로 2011년 주 5일제가 전면 도입됐을 당시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한 사례가 있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승무원을 제외한 연간 출국자 수는 2010년 1142만명에서 2013년 1352만명으로 늘었고,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에는 2692만명에 달했다. 이처럼 주 4.5일제 시행은 국내 관광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니라 해외소비로 빠져나가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희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박성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제수지팀 팀장은 “근로자들이 주 4.5일제에 연차휴가까지 더해 근거리 해외여행을 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면, 이는 여행수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은 맞다”면서 “하지만 환율·경제상황 등의 요인을 살펴봐야 해서 현재 단언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연휴가 늘어나면 문화·여가·여행 활동이 활발해지고, 콘텐츠 소비가 늘어나는 등 여러 파급 효과가 있을 것 같다”며 “그 효과가 어디 분야에 특정하게 영향을 주는지는 (실제로 주 4.5일제가) 시행됐을 때를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5.10.02 09:00

4분 소요
High School Girls Turning to Drugs for Dieting...We need a serious solution

산업 일반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현 사회현상에 대해 학생들 시선에서 ‘왜’라는 질문을 갖고 직접 취재해 작성한 기획기사입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의 기획기사는 영문과 국문, 두 형태로 게재합니다. Drugs are no longer just a problem for adults. Recently, as the number of teens is exposed to drugs, the youth drug problem is emerging as a serious social problem nowadays. According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at total of 617 cases, with 2,607 kg of drugs, were detected at the border stage in the first half of 2025. This is the amount of drugs that 89.33 million people could manage at one time.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last year, the number of cases detected has increased by 70%, and the weight has increased by 800%, and it is the largest amount ever detected by weight.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2023, there were about 1,477 teenagers doing drugs, as an increase of about 6.2 times compared to 2019(239). According to the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s, which is a study of the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an adolescent's new drug addiction, teens are doing drugs because of stress, curiosity, entrance examination, etc. Teens mostly use SNS to get drugs. Telegram, Instagram, Discord are the main apps that teens can easily get drugs from. Direct overseas purchases and international mail are also ways that many teenagers have come into contact with drugs. One of the most typical ways they enter the country is by being disguised as sleeping pills or diet supplements.Especially, because of diet, teenagers are starting drugs. As rumors spread on SNS that taking medicine called “butterfly medicine" could help them lose weight quickly and easily, illegal transactions between adolescents are increasing. “Butterfly drug” is a narcotic appetite suppressant called “diathamine” and 81 of the 102 people caught by police for trading “butterfly drug” in 2023 were teenagers. If it works after purchasing and taking “butterfly drugs”, teenagers look for a diet drug containing stronger drugs. In the case of female teenagers, taking narcotic appetite suppressants for dieting often leads to addiction,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y fall into a vicious cycle of turning to other drugs such as sleep inducer due to side effects of addiction. There are two main categories for solutions to the teenagers drug problem. First,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analyze the routes of exposure to illegal drugs and preventive education to protect the youth themselves accordingly. Since teenagers mainly encounter drugs through SNS, teenagers should be educated about the seriousness of drugs through proper SNS use or cases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rugs through SNS. The second way i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ore open space for teenagers about treatment for drug addiction. There are many teenagers who are struggling with anxiety, depression, and OCD, and also compulsion but are passive about psychiatric treatment. This is the reason why teenagers are looking for drugs. There are many teenagers who refuse treatment even though they are already addicted to drugs. Teenagers often refuse treatment because they do not admit that they are addicted to drugs or lack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y need treatment. In particular, they refuse treatment due to fear of keeping records of treatment or their surroundings during hospital treatment. When teenagers need psychiatric counseling and treatment due to academic stress or career concerns,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ocial system that can be approached naturally and comfortably.

2025.09.30 18:09

4분 소요
Samsung Electronics Finally Hits 80,000 Won… Analysts say, “It could climb up to 110,000.”

산업 일반

Samsung Electronics has regained the 80,000 won mark for the first time in a year and a month. In the financial market, analysts are raising their target prices for the stock with some prediction that it could climb as high as 110,000 won. On the 18th, Samsung Electronics closed at 80,300 won, up 2.69%(2,100 won) from the previous day.During intraday trading, the stock rose to 80,500 won, marking a new 52-week high.This is the first time in a year and a month, since August 19th last year (80,100 won), that the stock has returned to the 80,000 range.News that the U.S. Federal Reserve cut its benchmark interest rate by 0.25 percentage points at the September FOMC meeting, served as a positive factor for Samsung Electronics, Korea’s leading stock.At the same time, expectations for improved performance from rising memory prices are also increasing.Brokerages have also been raising their target prices for Samsung Electronics.IBK Investment & Securities raised its target price for Samsung Electronics from 90,000 won to 110,000 won, SK Securities from 77,000 won to 110,000 won, and Hana Securities from 84,000 won to 95,000 won.NH Investment & Securities raised its target price from 84,000 won to 94,000 won, Mirae Asset Securities from 88,000 won to 96,000 won, and BNK Investment & Securities from 87,000 won to 91,000 won, respectively. Kim Woon-ho, an analyst at IBK Investment & Securities, said “Samsung Electronics’ third-quarter 2025 result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exceed forecasts,” adding that “revenue is projected at 87.8 trillion won and the operating profit at 10.4 trillion won.”The memory market is improving rapidly, and earnings are showing much stronger growth than previously expected. Sales of the Galaxy Z Fold have also surpassed earlier projections, leading analysts to predict that profit growth will continue through the end of the year.There are also expectations that NVIDIA’s HBM4 (6th-generation High Bandwidth Memory) will pass quality tests.Mirae Asset Securities analysts Young-geon Kim and Jae-ho Kim forecast that “about 10% of total HBM production capacity is being allocated to sample production, and as the scale of samples grows, revenue recognition will also begin”. SK Securities analysts Dong-hee Han and Jae-min Park reported “Samsung’s entry into the HBM4 market, noting that Micron’s disadvantage in speed, along with Samsung’s application of the 1c (10nm-class 6th generation) process for the core die and the 4nm foundry process for the logic die, increase the visibility of market entry.”.They concluded, “Although relatively weak price bargaining power and higher costs are inevitable, market expansion through entry would still be sufficient.”▶원문 기사: 드디어 '8만전자'된 삼성전자…증권가 "11만원까지 간다" (이코노미스트, 2025. 9. 18) ◆이코노미스트가 글로벌 차세대 경제 리더, 청소년 기자단 영 저널리스트와 함께합니다.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은 프리미엄 경제지 이코노미스트, 논술 전문 기관 Ni 에듀케이션과 함께 주요 시사 이슈를 팔로우업하고 직접 기획, 취재, 기사 작성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를 고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번 기사는 영 저널리스트 기자단이 이코노미스트 기사를 영문으로 번역하며 이슈를 팔로우업한 기사입니다. 차세대 글로벌 경제 리더, <영 저널리스트 with 이코노미스트> 영문 기사는 매주 연재됩니다.

2025.09.30 17:59

3분 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