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chnologist A Tool of Revolution On April 6 in El Mahalla, Egypt, thousands of people showed up for a demonstration in solidarity with striking textile workers to protest skyrocketing food prices. It gave many participants a nostalgic whiff of the bread riots of 1977, but what enabled that unexpected return to the past was a phenomenon of the future: a Facebook group for the event numbering more than 75,000 members. The precedent emboldened activists to start another Facebook group to stage a second protest to coincide with Hosni Mubarak's 80th birthday on May 4. With tens of thousands flocking to the Facebook page, activists were anticipating another day of triumphal 1.havoc. On May 4, however, the streets of Cairo were quiet. What happened? Facebook was supposed to be a revolutionary tool of organizers, a powerful new way of tapping a global support network of dissidents and uniting them in opposition to harsh governments. In Egypt, however, the 2.agitators are a 3.disillusioned bunch. The failure of their "click-here activism," says a Cairo human-rights expert who spoke anonymously because of the sensitivity of the issue, has shown "the limitations of social-networking sites as a tool for organizing real-world protests." This kind of disappointment is common to new technologies, which often seem to change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leave it much like it was before. As the Egyptian activists learned, a social network, just by virtue of being online, can't always hold together a "real world" movement. Facebook creates opportunities - it gives people the chance to write their own golden ticket - but it i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tickets themselves. So what exactly is Facebook good for, and what are its limitations? When what you want is 4.exponential growth for your cause, nothing beats Facebook: the network is designed for a good idea to spread faster and farther than a single person can ever 5.fathom. Think of a Facebook group as a growing body of water. For that water to accumulate pressure, it needs more infrastructure - the better constructed the 6.conduit, the more directed and powerful the flow. While 19-year-old Alex Bookbinder's group supporting Burma's persecuted monks swelled to more than 300,000 members, the organizers sought additional channels for their cause. Partnering with formal advocacy groups Amnesty International and the Burma Campaign UK, they successfully coordinated marches worldwide last fall, sending thousands onto the streets in London, Paris, Melbourne, Seoul, Taipei, Vienna and Washington, D.C. Mark Farmaner, who directs the Burma Campaign UK, affirmed that the Facebook activists transformed the global effort: "They're able to do things that we can't." At its core, Facebook is built on information exchange, or, as founder and CEO Mark Zuckerberg will tell you, "relationships." When it comes to solidifying already existing relationships, it can be invaluable. This was exactly what a Canadian group of small investors needed. "Canaccord and Other ABCP Clients," popularly known as "grannies on Facebook," lost their retirement savings when their brokers blew their investments on asset-backed commercial paper. Their Facebook group helped them share grievances and make an informed argument. In April, "300 raging grannies" crashed a financial-restructuring meeting in Vancouver, reported Brian Hunter, the group's creator, where their opponents "got their heads handed to them." Canaccord and other investment brokers pledged to reimburse the grannies in full. The strategic brilliance of Facebook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 combination of the cyberworld and the real world. When Facebook revolutions work, it's not because activists manage to bridge the social network and the real world. Facebook is not a cyberworld; it is the real world expanded on the Web. "Facebook is there to help people share information the same way they do in the real world," says Zuckerberg. "On Facebook, these real connections become more efficient and people get more value out of all their relationships." Although the groups themselves are composed of real people, the connection happens in cyberspace - with lightning speed and no regard to physical boundaries. If the basic unit of the Internet is the byte, or character, then Facebook's unit is the individual - creative, dynamic, proactive. This unit itself is something of eminent value, upon which Facebook can trade 7.ad infinitum with every connection made, every 8.blip of activity broadcast across the network. Facebook may be the messenger, but it's the users who write the message. In fact, they can write entire applications and run them on a platform that is, by design, connected to millions of people, of like and unlike minds. Clearly the Egyptian authorities recognized the organizational power of Facebook, which is why 27-year-old Ahmed Maher Ibrahim, an organizer of the Facebook group for the failed strike, was taken to a police station for 12 hours and beaten up. At one point, officers demanded that Ibrahim hand over the password to the Facebook group. How much the authorities understood about Facebook, and ultimately whether they'll be able to stem its use as a tool of activists, are hard to say. When Facebook delivers a message that brings Egyptians out into the streets, we may find out. 시위도 인터넷이 주도한다 지난 4월 6일 이집트 엘 마할라에는 수천 명이 섬유 노동자 파업 대열에 합류해 식품 가격 급등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많은 참가자는 1977년 빵값 인상 사태(빵값 상승에 불만을 품은 이집트 국민이 폭동을 일으켜 최소 79명이 죽고, 1000여 명이 다친 사건)를 떠올렸다. 하지만 그 뜻하지 않은 역사의 반복은 최첨단 기술 덕분에 가능했다. 이 집회 주도자들이 온라인 SNS(인맥구축서비스) 웹사이트 페이스북에 만든 그룹에 무려 7만5000명이 가입한 것이다. 뜻밖의 성공에 고무된 운동가들은 호스니 무바라크 이라크 대통령의 80번째 생일인 5월 4일에 두 번째 시위를 계획하는 그룹을 다시 만들었다. 수만 명이 가입하자 운동가들은 다시 한 번 세상을 시끄럽게 할 1.소동이 일어날 거라 기대했다. 하지만 막상 5월 4일 당일이 되자 카이로의 거리는 조용했다. 어쩐 일인가? 페이스북이야말로 반체제 운동가들이 세계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정부의 독선에 대항할 수 있는 혁명적인 수단이 아니었나? 하지만 적어도 이집트에서는 2.시위 세력의 3.착각으로 밝혀졌다. 익명을 요구한 카이로의 한 인권 전문가는 이번 온라인 운동의 실패가 “SNS 사이트가 실제 시위 규합 수단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첨단 기술에 대한 이런 실망감은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처음에는 세상을 뒤바꿀 듯한 기대감을 주다가 별다른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는 데서 오는 실망이다. 이집트 운동가들의 경험처럼 온라인의 SNS가 항상 ‘현실 세계’의 운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건 아니다. 페이스북은 기회를 만들어낸다. 사람들이 ‘대박’을 터뜨릴 만한 기회를 준다. 하지만 ‘대박’ 그 자체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페이스북의 강점과 한계는 무엇일까? 사실 사회운동 지지세력의 4.기하급수적인 증가를 원할 때 페이스북만한 게 없다. 우리가 5.추측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멀리 정보를 퍼뜨린다. 페이스북 그룹은 점점 불어나는 물로 생각하면 된다. 물이 차올라 압력이 축적되려면 기본적인 뼈대가 잘 세워져 있어야 한다. 6.수도관이 잘 지어져 있으면 물이 한 방향으로 힘차게 흘러간다. 19세의 알렉스 북바인더가 미얀마의 박해 받는 승려를 돕기 위해 만든 그룹은 순식간에 30만 명의 회원을 불러모았지만 운동가들은 그와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운동을 추진했다. 정식 NGO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 버마 캠페인 UK와 손을 잡고 지난겨울 전 세계적인 가두 시위를 성공리에 마쳤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런던, 파리, 멜버른, 서울, 타이베이, 빈, 워싱턴 DC의 거리를 메웠다. 버마 캠페인 UK의 마크 팔마너 사무총장은 페이스북 운동가들이 세계적인 시민 운동을 변화시켰다고 단언했다. “우리가 못하는 일들을 그들은 해낸다.” 페이스북은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한다. 아니, 창업자이자 CEO인 마크 주커버그에 따르면 ‘인간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기존 인간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있어 페이스북의 가치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캐나다의 한 개미투자자 그룹도 페이스북의 덕을 크게 봤다. “페이스북의 할머니들”로 널리 알려진 ‘캐나코드와 기타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 고객’ 그룹 회원들은 은퇴자금을 모두 잃었다. 투자를 위탁한 금융기관들이 자산담보부 기업어음에 투자해 모두 날려버린 것이다. 페이스북 그룹은 비슷한 일을 겪은 사람들끼리 서로 억울한 심정을 나누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이 됐다. 지난 4월 “300명의 격노한 할머니들”이 밴쿠버에서 열린 한 금융업계 회의장에 쳐들어가 투자기관 관계자들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다”고 그룹 개설자 브라이언 헌터가 말했다. 캐나코드를 비롯한 투자기관들은 그 노인들에게 투자 손실액을 전액 배상하겠다고 약속했다. 페이스북의 전략적 장점은 사이버 세계와 현실세계의 결합이라는 점이다. 페이스북 혁명의 성공 비결은 운동가들이 SNS 사이트와 현실세계를 잘 연결시켜서가 아니다. 페이스북은 사이버 세계가 아니라 현실 세계가 웹으로 확장된 것이다. 주커버그는 “페이스북의 목적은 온라인에서도 실생활에서 하듯 정보를 주고받도록 돕는 일”이라고 했다. “페이스북을 쓰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이 더욱 효율적이고 인간관계에서 더 많은 가치를 얻게 된다.” 그룹 자체는 실제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만남은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난다. 물리적 경계와 상관없이 번개 같은 속도로 말이다. 인터넷의 기본 단위가 바이트나 글자라면 페이스북의 단위는 창의적이고 역동적이며 적극적인 개인들이다. 이 단위 자체가 엄청난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페이스북은 사람 사이의 연결과 네트워크상의 활동 8.기록 등 사람을 단위로 7.무한한 양의 정보를 교환한다. 페이스북이 전달자가 되지만 전달되는 메시지는 사람이 작성한다. 실제로 페이스북의 회원들은 온갖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해 다양한 부류의 수백만 명이 연결된 하나의 플랫폼에서 가동할 수 있다. 이집트 당국도 페이스북의 조직력을 알아챈 게 틀림없다. 이집트 경찰은 이번에 실패한 시위 그룹의 주동자 중 하나였던 아메드 마에르 이브라힘(27)을 체포해 12시간 동안 경찰서에 감금하고 구타했다. 이브라힘에게 페이스북 그룹의 패스워드를 대라고 윽박지르기도 했다. 물론 그들이 페이스북을 얼마만큼 이해하는지, 또 페이스북을 이용한 시위 모의를 막을 수 있을지는 아직 의문이다. 페이스북을 매개체로 이집트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오는 날 그 답을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 NOTES 1.havoc: (자연력·폭동 따위에 의한) 대파괴, 소동, 황폐. Ex. The floods created havoc throughout the area(홍수로 그 지역 전체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2.agitator: 선동자, 운동자, 유세자. Ex. It is unjust to label him as a mere agitator(그를 단순한 선동자라고 부르는 것은 부당하다). 3.disillusion: …을 미몽에서 깨어나게 하다, 환멸을 느끼게 하다. 4.exponential: 속도를 더하는, 기하급수적인. 5.fathom: 깊이를 재다, 탐색하다. 6.conduit: 수도관, 도랑, 수로. 7.ad infinitum: 무한히, 무궁하게, 영원히. Ex. I don’t want to go on working here ad infinitum(나는 여기서 영원토록 일하기를 원치 않는다). 8.blip: 삑 하는 소리, 기록, 메모.